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기결정성이론에 의하면 사람은 무동기(amotivation), 외적 조절(external regulation), 내사조절(introjected regulation), 동일시 조절(identified regulation), 통합된 조절(integrated regulation),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등 6가지 동기 유형에 대해 동시다발적 경험을할 수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결정성이론에 기반을 둔 동기부여 선행연구들은 변수중심 접근법(Variable-Centered Approach)을 활용함으로써 여러 동기 요인들의 효과를 개별적으로 탐색하는데 유용한 반면, 여러 동기 요인들이 서로 상이하게 결합하면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다면적으로 여러 동기 요인들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람중심 접근법(Person-Centered Approach)에 기반 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활용하여 직장인들의 동기부여 프로파일 유형을 탐색 및 도출하였다. 특히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구가 거의 전무한 경영학 분야에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동기부여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견기업과 대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n=430)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잠재프로파일분석의 결과는 프로파일1(무동기화), 프로파일2(높은 동기화), 프로파일3(중간수준 무동기화), 프로파일4(높은 내재적 동기화), 프로파일5(안정된) 등 5개 동기부여 프로파일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도출된 5개의 동기부여 프로파일 유형 간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와 감정적 직무소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프로파일 그룹 중 동일시 및 내재적 동기 유형이 높은 수준으로 구성된 프로파일에 속한 직장인 집단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직무만족도와 낮은 직무소진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는 동기 유형간 직장인의 직무관련 행동의 차이점 분석 외에도 직장인의 개인특성 및 직무관련 변인들이 도출된 5개 프로파일 구성에 어떤 영향/예측 요인으로 작용을 하는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lth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proposes that individuals can endorse concurrently distinct types of motivation, the vast majority of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theory has been only conducted in terms of variable-centered approach. However,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motivation profiles based on self-determination approach over the last ten years in terms of person-centered approach. Hence, this study uses self-determination theory to identify motivational profiles by performing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On the basis of the combination of the six components of self-delamination theory on the sample of Korean workforce from the various private business organizations (n=430), this study identifi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ive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al profiles. These identified five profiles were then contrasted with employees’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burnou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related variables and the five different motivational profiles through a multinominal recession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tivation profiles pertaining to the high level of identified and intrinsic motivation, employee’s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the level of emotional burnout is low. There are only some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the five different motivation profil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motivation theory,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