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관심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직 중이며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CBAM 관심도 질문지(SoCQ)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상대적 강도(%lie) 점수, 관심도 프로파일, 최고점 분석, 제1,2최고점 분석(First-Second Peak analysis), 기술통계(M, SD),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전반적 관심도는 무관심 단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심도 프로파일은 비실행자와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또한 최고점 분석과 제1,2최고점 분석 결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은 첫 번째 관심 단계와 두 번째 관심 단계가 서로 인접해 발달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무관심 단계 교사 집단은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는데, 각기 다른 관심 특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관심도는 학교유형, 학교급,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수경험 유무, 교육과정 업무경험 유무, 최종학력,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 제고 및 연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ges of concern and differences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2015 revised special curriculum.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6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at the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employing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er used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oCQ) based on CBAM to collect data on teachers' percep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ile(%lie) scores, First-Second high stage score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Results: First, the general stages of concer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showed the highest in the unconcerned stage and the SoCQ profile showed similar profile to the nonuser. Also, the First-Second Peak Analysis indicated that four types of groups were identified and each group had distinguished featur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ern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the 2015 revi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 school grades, curriculum-related training experiences, levels of education, etc.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ern and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