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Intolerance of Uncertainty: IU)이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복적이고 부정적인 정보처리과정인 반복적 부정적 사고(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동시에, RNT의 변량을 제외하고도 걱정과 반추가 IU와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차별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IU, 걱정, 반추, 불안, 우울 수준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걱정과 반추의 공통적 특성인 RNT를 구성한 뒤, 공통 변량을 제외한 걱정과 반추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려내기 위해 이원요인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U가 RNT, 걱정, 반추를 거쳐 불안 및 우울으로 향하는 매개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모형 분석에서 이원요인 모형은 2요인 모형, 3요인 모형과 비교했을 때 모형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에서 RNT는 IU와 불안, IU와 우울 간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걱정은 IU와 불안 간 관계는 매개한 반면, IU와 우울 간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반추는 IU와 우울 간, IU와 불안 간 관계를 모두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mediating effects of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 worry, and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IU), and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RNT would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IU and anxiety and depression, whereas worry was expect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anxiety, and rumination was anticipat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300 Korean adults (188 males, and 112 females) who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IU, worry, ruminatio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Mplus7. Results indicate that R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anxiety, whereas in contrast, R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depression. Worr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anxiety, However, worr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depression, whereas, interestingly, ruminat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s of IU on either anxiety or depression.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