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남욱, 2019, 지석영본 <아학편(아학편)>(1908)으로 살펴본 트랜스링구얼리즘(translingualism)과 교육적 의미, 183 : 457~491 이 연구는 아동용 한자 학습서인 정약용의 <兒學編>을 100여년 뒤 새롭게 구성하여 증보한 지석영본 <兒學編>(1908)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텍스트에 드러나 있는 다양한 언어적 정보(중국어, 일본어, 영어, 서체, 반절 정보, 한글 발음 표기)가 주는 교차적 성격을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트랜스링구얼리즘이라는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았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의 국어학적 의미, 문헌학적 의미, 교육학적 의미를 살펴본 다음, 트랜스링구얼리즘과 대립되는 개념으로서 단일언어통합주의에 해당하는 ‘유니링구얼리즘’이라는 상호대립적 개념을 정의해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초반과 21세기 초반의 공시적 담론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지석영본 <兒學編(1908)>을 둘러싼 한국어 사용 언중들은 한글에 대한 우월감, 영어에 대한 위축감, 다양한 언어에 대한 인지 결여 등의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어문교육(국어교육)에 대한 새로운 설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A-HAK-PYEON(兒學編)>(rev. by Ji Seok-young(1908)) in a viewpoint of translangualism, which reveals various aspects of trans-linguistic informations such as Chinese, Japanese, English, typeface, fanqie(反切), phonetic transcription. As already known, original version of <A-HAK-PYEON(兒學編)>(by Jeong Yak-yong) is a model of an innovate switching of conventional early-child chinese character textbook. After 100 years later of the publishing original, revised version shows distinctive translingual feature. However, the Korean speakers, the contemporary synchronic users of Korean language, shows interesting cognitive response from a viewpoint of unilingualism. This phenomena conscientize the alternative discussion about exiting fram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ubject-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