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기존의 상투적인 엔딩과 다른 것을 쓰고자 했던 체호프의 엔딩, 어쩌면 체호프 자신의 예언대로 새로운 연극의 표지가 될 <갈매기>, <바냐 삼촌>, <세 자매>, <벚꽃동산>의 ‘까다롭고 복잡한’ 마지막 장면들에 주목한다. 이 네 편의 엔딩은 모두 피아니시모로 끝난다는 점 외에도 서로를 연상시키는 유사성, 모티프의 연계성을 갖고 있다. <바냐 삼촌>을 제외한 세 편의 희곡은 모두 주인공, 또는 주인공과 가까운 인물의 죽음으로 끝난다. 그리고 그 죽음은 트레플레프의 죽음이 그렇듯 주변인물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며 알려지지조차 않는다. 또한 <갈매기> 4막의 니나와 트레플레프 장면에서 인내에 대한 니나의 대사는 <바냐 삼촌> 마지막 장면에서 바냐를 위로하며 아무리 힘들어도 참고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소냐의 대사를, 소냐의 대사는 다시 <세 자매>의 마지막 장면을 연상시킨다. <세 자매> 마지막 장면이 <바냐 삼촌>의 엔딩을 떠올리게 할 수 있다는 스타니슬랍스키의 우려에 대해 그것이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말하면서 “자기 작품에서 자신을(자신의 작품을) 떠올리는 것은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고 체호프가 언급했던 것은 작가가 의식적으로 반복하고 있는 모티프들의 의미를 좀 더 생각해보게 한다. 인내와 체념, 삶의 의미와 망각에 관해서. 체호프는 과연 어떤 결말을 완성하고 싶어하는 것인지에 관해서. 그리고 그 연장선 속에서 모두에게 잊힌 채 홀로 남겨진 피르스의 모습을 그리는 <벚꽃 동산>의 엔딩을 앞선 작품의 주인공들이 품고 있던 삶에 대한 의지와 의문에 대한 체호프식 결말로 해석해본다.


“Whoever invents new endings for plays will open a new era.” In the letter to Suvorin in 4 June 1892 Anton Chekhov wrote that and declared not to write a play before inventing catchy ending without marriage and shooting. 3 years after Chekhov completed The Seagull and wrote to Suvorin again, “I began it forte and finished it pianissimo – against all the rules of dramatic art.” This paper studies endings of four later plays (The Seagull, Uncle Vanya, Three Sisters, The Cherry Orchard), as results of efforts to devise ingenious endings for new forms in the theatre and signs of masterpieces of modern drama. Endings of the later four plays have some similar motives reminding of each other and some such interpretive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pianissimo endings without conventional denouement and the meaning of recurring motives of Chekhov’s major four plays: patience, resignation, reward after death and possibility of knowing the sufferings in this world and comedy as expression of author’s love of life and optimism. It would be not just a formal examination of the new endings that Chekhov devised but consideration on Chekhov’s thoughts on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