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어 중에서 합성명사의 형태적 특징을 대조한 연구이다. 미얀마 합성어와 한국어 합성어를 대조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미얀마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합성어는 영어 외래어를 중심으로 중국어 외래어, 일본어 외래어를 살폈다. 영어 외래어는 현대에 들어와서 전면적으로 차용되기 시작하였고, 한자어는 한국어에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지금까지도 합성어를 만드는 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어도 이른 시기부터 외래어가 차용되어 다수의 외래어 합성어가 존재함을 예시와 함께 밝혔다. 특히 빨리(Pali)어는 불교 국가인 미얀마에서 일상생활 용어에까지 넓게 분포되고 있었다. 그리고 몬(Mon)어를 비롯한 다른 부족 언어도 미얀마어(버마어)와 합성되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특히 미얀마는 인도와 한국은 중국과 인접해 있으면서 역사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도, 중국의 어휘가 두 언어에 각각 많이 차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ound nouns by studying the compound words of Korean and Myanmar Language. Myanmar learners should be able to learn Korean more easily from sociolinguistic aspects through compound words among various vocabulari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s occupied a special position. In addition, there are also many foreign words in the Myanmar language, borrowing from foreign words. In particular, Pali language was widely distributed in Myanmar which is a Buddhist count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lations in compound words, we can see that the two countries have historically and influenced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particular, Myanmar has been closely related to India and South Korea, suggesting that many of the vocabularies of India and China are borrowed and that a large number of foreign languages ​​appear in compound languages.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the compound structure of Korean and Myanmar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