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에서 쓰기 영역 성취기준 관련 단원들의 구성 체제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쓰기 교수학습 개선 및 향후 교과서 개발과 재구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총12종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에서 쓰기 영역과 관련된 52개 소단원을 대상으로 소단원 구성 측면에서 영역 간 통합 기제, 통합 방식, 통합 비중, 작문 장르, 본문 제재 성격의 항목들을, 학습 활동 측면에서 글쓰기 완결 여부, 활동 안내 유무, 협동 학습 여부, 매체 활용 여부, 학습 활동 유형의 항목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단원 내의 영역 간 통합, 활동 안내 수준의 적정성, 글쓰기 활동에서 협동 학습 도입 현황, 이해 혹은 연습 단독으로만 구성된 학습 활동 등에서 논의할 만한 쟁점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과 관련된 제언들도 제시되었다.


This thesis offers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restructuring Korean textbooks by analyzing organizing systems of writing-related units. For the analysis, 52 small units from 12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refor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unit construction and learning activity. The detailed criteria used for the evaluation of unit construction were mechanism, forms, and importance of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domains, writing genre, and features of main materials, while the criteria for learning activity were completion of writing, separate guide for activities, use of collaborative writing and various media, and types of activities. Results were discussed to offer some proposals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