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고유어 중심의 단어 형성 교육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단어 형성 교육에서 외래어 및 한자어를 수용·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명명 과제를 설계·시행하여 새말 만들기 장면에서 다양한 어종의 어휘 자원이 활용되는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종 선택에는 ‘명명 대상 자체의 속성, 명명 화자의 언어 의식 및 어휘부 체계, 고유어·한자어·외래어가 가진 언어적 특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단어 형성 교육이 다양한 각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한자어 및 외래어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상 단어 형성 장면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의식 및 수행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본고의 논의는 향후 단어 형성 교육에서 어종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화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language usage patterns by focusing on word type. So we qualitatively analyzed the patterns in which the lexical elements of different languages are utilized in the scene of making new words through the nam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on patter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naming objects, the speaker’s language consciousness and lexicon,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word’. Thus, we suggested that a more diverse and active approach that include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should be implemented when designing word-forma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