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의식과 존재를 둘러싼 현대의 언어관을 통해 주자의 언어관을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독서이론 체계에서 보인 주자의 언어관은 관계론(關係論)적 언어관의 대척점에 놓인 실체론(實體論)적 언어관이다. 둘째 주자가 볼 때 독서론에서 언어의 역할(役割)은 독서인을 인식의 영역[언어의 영역]에서 출발하여 존재의 영역[탈언어의 영역] 문턱까지만 안내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셋째 주자가 생각하는 독서에서 언어의 한계(限界)는 실유(實有)인 존재를 시니피에의 틀을 통과한 추상적 개념으로만 표현할 수 있을 뿐 존재실상 그 자체로는 담아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추상적 기표와 기의인 언어는 인식의 주체를 존재실상 앞 문턱까지만 안내해 줄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그 역할이 제한된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주자의 언어관을 견지하면 전통의 상속에서는 큰 장점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는 절대주의 독서라는 혐의를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통을 계승하되 그에 머물지 않고 비판과 긍정의 대안적 독서가 가능하도록 하는 언어관으로의 이동이 요청된다. 그것은 아마도 관계론적 언어관과 실체론적 언어관과의 조우에서 가능할 것이라 본다. 절대적 독서와 대안적・수용적 독서의 조우가 또한 요청된다.


Based on the modern viewpoint of language around perception and existence, the study summarized Zhu Xi's viewpoint of language into three: first, his viewpoint of language found in the system of his reading theory is based on substantialism at the antipodal point of the relation theory; second, he believed that the roles of language in his reading theory were restricted to guiding readers from the domain of perception (domain of language) to the threshold of domain of existence(domain of non-language); and third, he found that the limitations of language in reading came from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actual being could not be contained for its reality of existence itself, being expressed only in an abstract concept passing through the framework of signifiant. As abstract signifier and signified, language can thus guide the subject of perception only to the threshold of reality of existence, being limited in its roles. When adhering to Zhu Xi's viewpoint of language with these characteristics, one can have a huge advantage in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This reading cannot, however, escape from the suspicion of absolutistic reading. It is thus needed to move toward the viewpoint of language capable of alternative reading based on criticism and positivity instead of remaining at the level of inheriting tradition. It will be possible in an encounter between the viewpoint of language based on the relation theory and that based on substantialism. There is also a request for an encounter between absolutistic reading and alternative and accepting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