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 4명의 글쓰기 체험에 대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해석 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을 적용하여(Smith and Osborn, 2003; Smith, Flowers and Larkin, 2009)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4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상위주제는 ‘서투르지만 안전한 공간, 글’, ‘고통의 자락마다 나아가고 머무르기를 반복하다.’, ‘내가 서 있는 자리를 비추다.’, ‘물리적 부재의 또 다른 의미, 공존’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을 위한 전문적인 심리조력 및 사회복지 실천개입 방안으로 죽음 경험에 대한 글쓰기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riting exper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experienced parental death and to deriv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For this purpose, four middle - aged women who experienced parent 's death were interviewed after 4-day writing and analyzed by apply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Smith and Osborn, 2003; Smith, Flowers and Larkin, 2009).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superordinate themes and 13 subthemes were derived. The top themes were 'awkward but safe space, writing', 'going and staying at each hem of pain', 'reflecting my standing', and ‘another meaning of physical absence, coexistence'.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study on the meaning of writing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ir parents' death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basic data that show the usefulness of writing programs fo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