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낙관적, 파국적, 암흑적인 세 가지 생태관의 시대에 따른 변천을 문학생태교육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후속세대에게 전달하기 위해 세 명의 생태작가의 대표적인 단편소설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살핀다. 여기서 분석해볼 단편작가와 단편 작품은 먼저, 미국 메인주의 여류작가 새러 오른 주잇(Sarah Orne Jewett)의 「하얀 왜가리」(“A White Heron”), 사키(Saki)라는 펜네임으로 더 잘 열려진 영국출신의 H. H. 먼로(Munro)의 「침입자」(“interloper”), 그리고 캐나다의 일본계 작가 히로미 고토(Hiromi Goto)의 「희망의 괴물」(“Hopeful Monsters”)이다. 위 단편들은 분량상 짧고 담고 있는 환경주제도 명확하고 꼼꼼히 읽기도 가능하여, 영문 장편소설의 독해에 어려움을 겪어 자칫 작가의 생태관을 간과하기 쉬운 한국의 교육현장에 수업용 텍스트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암흑의 생태학”의 개념은 아직 국내의 생태관련 논문에 본격적으로 취급되지 않고 있고, 주창자인 티모시 모튼의 저서들도 인터넷에 단편적으로 가끔 소개될 뿐 대표적인 서적의 번역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우리가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우주와 자연의 신비에 점차 더욱 가깝게 다가가 언제가 그 베일을 벗길 것이라는 낙관주의를 취할 것도 아니고, 반대로 악화되는 환경파괴를 묵시론적 계시로 받아들일 것도 아니라고 말하는 암흑의 생태학은 “더 많이 알수록 자신이 더 얽혀 있다는 점”을 깨닫고, 알수록 더 모든 것이 더 불확정적이고 애매해지는 자연의 특징을 강조한다.


Based upon ecological theories of Bill Mckibben and Timothy Morton,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of changed nature concepts, especially in terms of social construction of nature. By reading three representative short stories reflective of three ecological theories (romantic, catastrophic and dark ecology) , this paper aims to effectively deliver them to the next generation for the great educational purpose. The first short story for introducing the romantic view of the nature is “A White Heron” by Sarah Orne Jewett, a woman writer from Maine. The second short story, “The Intruder” by U.K. writer H. H. Monroe, aka Saki is for showing the destructive power of nature upon the humans whose behavior toward nature is merely defiantly reflexive without wisdom. For effectively demonstrating the concrete mesh by hyperobject in dark ecology, the last short story, Hiromi Goto’s “Hopeful Monsters” is analyzed as an example of the dark ecology. The postmodern constructive notion of nature of the last case can challenge the established assumption, making us more sensitive to ourselves, to others and to the nonhuma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