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증동국여지승람』(이하 『승람』)은 1485년(성종 16)에 초간한 『동국여지승람』을 46년 후인 1531년(중종 26)에 신증한 전국읍지이다. 이 책에 실린 각 고을의 열녀 항목을 분석해보면 조선전기 지배층이 인식하고 있던 유교 윤리를 실천한 모범적인 여성의 기준을 알 수 있다. 『승람』에는 모두 157명의 여성이 고을별 열녀 항목에 실려 있는데, 81%는 조선시대 인물이며, 경상도와 전라도가 50%를 넘는다. 『승람』 편찬 당시 이 두 지역은 인구도 많았지만, 유교화가 많이 진척되었으며, 열녀 사례 발굴에도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승람』의 열녀 유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은 남편을 일찍 여의었으나 개가하지 않고 오랫동안 수절한 경우이다.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자살은 조선 건국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데, 초간 때인 본조 시기보다는 신증 시기에 더 증가하였다. 피살은 모두 고려 말 왜구의 침입에 맞서 절개를 지키다가 희생당한 경우이다. 약혼자가 사망하였지만 시집가지 않은 사례는 단 1명뿐이며, 약혼자의 사망소식을 듣고 따라 죽은 열녀는 없다. 여묘를 살기도 하였는데, 여말 선초 유교윤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었다. 『삼강행실 효자도』(1432)의 국내 효녀 8명 중 4명이 『승람』에서는 열녀 항목에 실린 것은 특기할 만하다. 『승람』에 실린 열녀는 조선전기 지배층이 이상적으로 삼았던 모범적인 여성의 이미지이다. 조선후기의 열녀상과는 다르며, 조선전기 일반적인 여성들의 존재 양상과도 다른 아주 특별한 여성들의 모습이다. 조선전기의 열녀는 단순히 개가를 거부하고 종신 수절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여묘를 살거나 하층민이 포상 받는 경우도 많았다.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 당시처럼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절개를 지키다가 피살된 경우는 적었다. 『승람』을 편찬하면서 이전에는 효녀로 인식하던 인물을 열녀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조선전기 유교화가 진척되면서 여성에게는 열행을 효행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승람』의 열녀 항목은 조선전기 유교화 과정의 산물이며, 임진왜란 당시나 그 이후에 포상한 조선후기의 열녀와는 분명히 다르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behavior, locale and era of the 157 women written in the section of the faithful women(烈女)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here after Seungram).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revealed. Jeolla Province was enthusiastic about discovering the cases of the faithful women and Chungcheong Province was neglectful about finding the faithful women as well as devoted sons. According to the Diary of the King Yeonsan(『燕山君日記』), during that period six faithful women were rewarded, and five of them are mentioned in the Seungram. According to the Seungram there is only one faithful woman rewarded during the King Yeonsan period. The most frequent cases covering 58 percent, were women who kept a chaste life. 19 percent of the cases were the women who chose suicide, which were found only during the time when the original and revised book were written. 10 percent of the cases were the women who were murdered and they all were sacrificed while trying to keep chaste(守節)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cases in which wives hung themselves or starved themselves to death after their husband died increased. There was one case when the woman did not get married after her fiancé died, but there were no cases of faithful women dying following the fiancé’s dea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ustoms of wives’ living in a hut near the husband’s grave during the time when the original edition of the book was written, many such women were rewarded, but when the revised book was written, those cases were remarkably decreased. This change reflects that it was now required for women to have only one husband, keep chaste after the husband’s death, and not to remarry(改嫁). The faithful women in Seungram is the product of the Confucianization(儒敎化) and were clearly different from faithful women who were rewarded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faithful women were rewarded for living in a hut near their husband’s grave and refusing to remarry, but in the la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omen hardly lived near their husbands’ graves and it was unthinkable for a woman from a good class to rema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