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0년대에 들어 학문으로서 한국어 교육이 발아하여 급성장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내·외 지역에서의 한국어 교육이나 보급 관련 연구들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지를 정책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고 그 현황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그 연구의 흐름을 살펴 현재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그 방향성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총 429편의 연구를 수집한 후 시기별, 유형별, 목적별로 구분하여 연구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대에 들어와 정책 연구가 급증하였고 특히 학위 논문이 전체 연구의 거의 절반에 가깝다. 또한 다문화사회를 맞이하여 다문화 가정 구성원 대상의 정책 연구가 40% 정도에 달하며 주제 또한 다양하다. 이에 반해 이주노동자나 유학생 대상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고 주로 제언 정도의 수준이다. 그리고 교육 지원에 관한 정책 연구도 IT를 활용한 연구 등으로 확장함으로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 외 지역에 대한 연구에서도 그 대상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으로까지 넓혀 한국어 교육 현황을 제시하는 기본적 연구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해외 대상 또는 해외 소재 한국어 보급 기관의 목적과 파견 교원 등 정확한 정보를 반영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재외동포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을 비롯한 정책 지원 연구도 필요하다.


Starting from 2000’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developed rapidly,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analyse the current situation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policy that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both at home and abroad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this aims to study trend of researches which will allow us to understand research on polic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day and its direction for tomorrow. The trend of researches was studied analysing a total of 429 articles by period, by type and by purpose. It is that researches on poli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reased dramatically from 2010’s. Nearly a half of the researches was for degree thesis. With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them takes about 40 % of the researches. Although researches on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y have increased, researches on immigrant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are relatively week. Research on educational supports should also be extended by using IT. The researches on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also cover remote areas like South America & Africa and target of organizations abroad who distribute Korean language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dispatched. Researches on policy supports for overseas Korean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