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지털 기술의 범용화와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디지털 기술 이용 역량 및 활용 수준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및 1차-2차 단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이 디지털 정보 활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2016년 자료를 활용하고 패널회귀모형 고정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활용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디지털 역량, 디지털 활용 수준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도구적 역량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적 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활용 수준은 도구적 역량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나, 생산적 활용 수준은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지털 활용도 제고를 위해 디지털 역량 측면의 격차 해소 및 방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사용자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제도적 특성을 고려한 다층적 접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을 위해 사회적 활용 측면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 교육・훈련이 제공되어야 하며, 내용적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위험과 이에 대한 대응성을 같이 강화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Because of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effect of first-level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on privacy concern. The research analyzed 72,474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usage. In addition, while medium related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rivacy concern, the effect of contents related skill is questionable. Finally, social usage did moderated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kill and privacy concern, productive usage did not.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