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경험한 애착외상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자기분화는 애착외상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사회적 지지는 자기분화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셋째로, 애착외상이 자기분화를 통해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영향을 주는 가운데 사회적 지지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self- differentiation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bout the effect of attachment trauma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college students and verified by IBM SPSS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self-differentiation presente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social support revealed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social support presen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ttachment trauma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rough self-differentiation. Lastly Based on this study significance, limitation and directions of follow-up study were di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