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원두와 지근을 일원으로 보는 윤휴의 「독서기중용」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윤휴가 말하는 ‘원두(原頭)’란 하늘의 근원성, 즉 천명이고, ‘지근(至近)’이란 하늘의 근원성을 자각하고 사천(事天)하고 외천(畏天)하여 위기(爲己)하는 군자의 모습이다. 따라서 원두는 천도가 되고, 지근은 인도가 된다. 윤휴의 해석에서 천명은 고원한 세계에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천명은 다만 원두처가 되는 것으로써, 이것은 인간이 중용의 도를 실현해야만 구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해석에서는 원두와 지근이 하나로 연결되며, 지근만 설명하여도 그 속에는 항상 원두가 내포되어 있다. 원두란 만물과 현상의 근원으로 이것은 지근의 실천을 통해야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윤휴의 생각이다. 그가 원두와 지근을 일원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그의 『중용』 해석에서는 하늘⋅만물⋅인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는 하늘이란 애당초 사람을 위하고 사람은 하늘을 위하며, 나는 애당초 타인을 위하고 타인은 나를 위한다고 하였다. 하늘의 도는 둘이 아니므로 지근의 실천을 통하여 원두인 천명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 『중용』의 목표라고 하였다. 그의 해석에서는 인간의 실천성과 주체성이 강조된다. 천은 실천 주체자인 군자의 성정, 즉 심 속에 자리할 때 확인이 가능하다. 그에게 하늘이 중요한 까닭은 인간의 실천을보편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존심양성 이후에 사천(事天)이 가능하다고 여겼으며, ‘천지위만물육(天地位萬物育)’ 또한 도덕실천으로 가능하다고 여겼다. 인간의 주체적 도덕 실천을 근본으로 삼지 않는다면 하늘은 인간과 별개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여긴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는 하늘인 원두보다 인간의 실천 문제인 지근이 훨씬 중요하다. 이러한 윤휴의 『중용』 해석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인륜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interpretation of Yunhyu’s Dokseogijungyong (讀書記中庸) that considered Wondu (原頭) and Jigeun (至近) from a monistic point of view. In his view, Wondu refers to the origin of Heaven, in other words, Heaven’s will, while Jigeun indicates the way of living of a noble man who understands the origin of Heaven and cultivates himself, serving and fearing Heaven. Therefore, Wondu becomes the way of Heaven while Jigeun becomes the way of man.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Yunhyu, Heaven’s will does not exist separately in a lofty world. Heaven’s will is only the place where Wondu is located, which can be materialized only when men realize the way of moderation. Therefore, in his explanation, Wondu and Jigeun are coupled into one, and even if one explains only Jigeun, Wondu is contained in it at all times. Yunhyu thought that Wondu could be accessed only through the practice of Jigeun as Wondu was the foundation of the change of all things. Since he interpreted 『Jungyong』 from a monistic view of Jigeun and Wondu, Heaven, all things and man were organically linked in h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He argued that Heaven was for man while man was for heaven from the start and that I existed for other people while other people exist for me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saying that the way of Heaven was not two but one, he considered, as the goal of 『Jungyong』, moving toward the world of Heaven’s will, which was Wondu, through the practice of Jigeun. Inaddition, the practicability and subjectivity of man were emphasized in his interpretation. Heaven could be identified only when it was placed in the middle of mind of noble man who practices. The reason why heaven was important to him was that it could universalize human practices. He thought that Sacheon (事天) could be accomplished only after cultivating the nature given by Heaven (存心養性) and that the state that the world was placed in its right place and all things were cultivated (天地位萬物育) could also be secured through practicing morality. In other words, he understood that heaven would be working separately from man unless the subjective moral practice of man was not taken as the foundation. For him, Jigeun, which was about the matter of human practice, seemed to be far more important than Wondu, which represented heaven. It can be said that Yunhyu’s interpretation of 『Jungyong』 was an attempt to find a way to practice morality in a voluntary and active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