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평가는 학습의 질과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미래 핵심역량을 키우기 위한 학교교육의 변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학생평가 체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비교하여 국제 수준에서 한국의 평가체제 특징을 확인하고 학생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가 간 학생평가 비교를 위해 평가 거버넌스, 교사의 평가역량, 평가절차, 평가결과의 활용의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된 분석틀을 수립하였으며, PISA 2015의 학교, 학생,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PISA 2015 참여국 수준을 고려할 때 한국의 학생평가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가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한국에서는 표준화검사를 강조하고 총괄적 목적으로 평가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학교의 평가 자율성은 참여국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교사의 평가역량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현직교사 평가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과 과학교사의 평가효능감 수준은 전체 참여국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평가절차에서 과학교사 간의 평가 관련 협력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교실수준에서 교사가 개발한 평가나 관찰 및 숙제보다는 표준화검사나 구술 중심의 평가유형 사용 비중이 높았으며, 성적 산출 시 성장이나 능력 참조준거의 활용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평가결과의 활용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학교들의 평가결과 활용도는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평가 체제 비교를 위한 분석틀의 각 측면에서 한국의 학생평가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ducation system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quired changes to develop the students’ competencies. Specially student assessment is important in those changes a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and direction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mpare student assessment systems of the countries participating in PISA 2015 and to draw lessons from the results to improve student assessment system in Korea. For analyses, we used the analytical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assessment governan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y, assessment procedure and use of assessment result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ssessment system in Korea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assessment governance, Korean schools would tend to put more stress on the use of standardized tests while the degree of school assessment autonomy was the higher than average. Second,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was offered lower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science teachers’ assessment efficac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verage. Third, assessment cooperation among science teachers was higher than average. Also the proportion of latent profile using standardized test or oral test in the class was high in Korea. Fourth assessment results in Korea, the degree of use of assessment results for either formative or summative was the lower than in other countries. Finally, implications for to build better student assessment system in Korea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