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반고 교사, 직업 위탁기관의 하나인 산업정보학교 교사와 학생, 시‧도교육청의 일반고 직업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일반고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산업정보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5개 시‧도의 7개 산업정보학교 교사 15명, 학생 13명, 일반고 교사 6명, 시‧도교육청 담당자 4명, 38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 결과는 (1)일반고 학생의 직업 위탁과정 만족 및 중도탈락 요인, (2)일반고 직업 위탁과정 홍보 및 안내 실태, (3)일반고 직업 위탁과정 운영 실태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석되었으며, 각각의 영역별로 일반고 직업 위탁교육의 구체적인 실태에 근거한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학생들의 직업 위탁과정 만족 및 중도 탈락 요인이 일반고 직업 위탁과정의 홍보 및 안내 방식뿐만 아니라 실제 직업 위탁과정의 내용 및 운영 방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논의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곧, 일반고 직업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직업 위탁과정의 취지 및 목적을 명료히 할 것과, 이에 대한 홍보를 활성화하고, 원적교와 위탁기관 간 협력을 통해 위탁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며, 직업 위탁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고 전문성을 신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students, and officials of the metropolitan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From the in-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aim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larified. Second, the promo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vocational education needs to be done much earlier than in the end of the second year. Third, in vocation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pen curriculum that reflects future industry rather than popular-oriented curriculum. Although it is important to study specialized subjects, practical studies of math and English is also important. Four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ird-year students involved in the vocational education need to be improved. Fifth, training needs to be carried out to improve the awareness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on the vocation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