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하는 여성의 진로유지와 전환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여성의 진로적응 연구를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6차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4,267명을 진로유지/진로전환으로 구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개인・직업・가치관 요인은 진로유지집단에 비해 진로전환집단의 학력, 미혼, 월소득, 양성적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 만족도 요인은 ‘고용안정성’을 제외한 요인에서 진로전환집단이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일→가정 양립과 가정→일 양립도 대다수 진로전환집단이 높게 나타나 양립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진로전환에 대하여 경력단절의 부정적인 인식보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통하여 진로전환 및 적응을 이끌 수 있는 진로 및 직업교육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따라서 향후 여성직업인의 진로유지와 진로전환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비롯하여 근로자지원 및 경력개발정책에 대한 후속연구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s career maintenance and transition and to promote women' s career and career research in the future. For this, 4,267 people who were currently working in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6 were classified into career maintenance/career transition and analyzed by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occupational, and value factors of group showed higher education, unmarried, monthly income, positive value of career transition group than career maintenance group. Second, job satisfaction factors showed high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career stability. Third, most of the career transition groups were found to be compatible with work-family balance and family-work bal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o lead career transition and adaptation through positive perception is sugges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a follow-up study on the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policy of the women workers, as well a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areer maintenance and tran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