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과 달리 불교사상을 담고 있는 음식으로서 불교의례와 더불어 발달한 문화유산이다. 물론 사찰음식은 일반적인 한식의 요소도 상당히 갖고 있지만, 불교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생선․오신채(五辛菜)를 쓰지 않는 음식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발우공양은 사찰의 식사법으로 사찰음식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이다. 발우공양의 문화유산 가치를 찾아보면, 불교사상에 기초한 불교 수행론의 문화유산, 생태적 적응의 지혜를 간직한 문화유산, 간소한 일상적 한식의 유형을 전승하는 문화유산, 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음식으로서 의료문화유산, 한국인들의 ‘공동체적 가치’와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는 문화유산, 절약과 완전소비를 추구하는 생태주의 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사찰 세시음식의 문화유산 가치는, 발우공양 음식의 범주가 확장된 것이며, 민간 의례음식의 고형과 불교세시음식의 고형을 상당히 많이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 한국 음식의 변화상을 반영한 음식문화유산으로서, 민간과 사찰의 공동체적 문화유산이다. 그런데도 사찰음식은 정체성이 모호한 부분이 있으므로 바람직한 전승을 위한 과제가 적지 않다. 사찰음식의 전통성 회복, 사찰마다 특색있는 음식 살리기, 잊힌 사찰 세시음식의 복원 또는 재현, 전통적 사찰음식의 전수체계 마련, 전국 사찰음식에 대한 학술조사 후 체계화와 주기적인 기록화, 전통적인 사찰음식과 현대적인 사찰음식의 구분, 사찰음식의 대중 상품화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Unlike general Korean food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containing Buddhist ideas are cultural heritage items which have developed along with Buddhist ritual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considerable elements in common with general Korean foods. However, they are separated by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avoid meat, fish and five pungent herbs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Balwu-Gongyang is a communal Buddhist meal service, which is a typical cultural phenomenon that well represent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Many aspects in the cultural heritage of Balwu-Gongyang are as follows: Buddhist discipline based on Buddhist principles, wisdom of ecological adaptation, inheritance of a type of simple daily Korean food, foods as medicines preventing and healing diseases, realization of Korean ‘communal values’ and ‘the value of sharing’, and eco-friendly saving and complete consumption. Next, the extension of the food range of Balwu-Gongyang leads to the cultural heritage value in seasonal foods of Korean Buddhist temples. This cultural heritage contains fixed forms of general people’s ritual foods and Korean Buddhist seasonal foods considerably. This is a heritage of food culture that reflects changes in Korean foods, and also a communal cultural heritage of general people and Korean Buddhist temples. Nevertheless, as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have not been identified completely, there are various things to do in order to pass down these temple foods properly. Traditionality of Korean Buddhist temple foods needs to be recovered. Each temple should develop its own unique temple foods. Seasonal temple foods that are forgotten need to be restored or represen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of passing dow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foods. Buddhist temple foods in Korea should be systemized and recorded periodically after academic surveys of these foods are conducted. Distinctions between traditional temple foods and contemporary ones are necessary. How to merchandize temple foods for the public needs to be established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