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조선 영조 때의 학자 이재운의 『해동화식전』을 새로 발굴하여 분석하였다. 1750년 전후에 지은 이 책은 경제와 경영을 논한 저작으로, 경영론 위주의 의론(議論)과 상인 열전이 담긴 서사(敍事)로 구분된다. 이 논문에서는 의론 부분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논지를 전개하였다. 먼저 이재운은 조선 사회의 경제관념과 상업관을 거부하고 중상주의적 이론과 경영론을 전개하였다. 조선 사회는 적극적 이윤추구와 부의 창출을 경계하는 도덕경제를 지향하였는데, 그와 반대로 이재운은 부자가 되려는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고 양반사대부도 당당하게 이윤을 추구하여 부자가 될 것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빈부 관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가난은 악덕이고 부는 미덕이라 규정하였다. 그에 따라 생업을 영위하여 적극적으로 치부할 것을 주장하고, 부자에 대한 조선 사회의 편견을 버리고 정당하게 부를 일군 부자를 대우하자고 제안하였다. 셋째로 부를 획득하기 위한 경영론을 구체적으로 전개하였다. 경영자의 경영능력과 경영계획을 높이 평가하였고, 당시 현실에서 부를 축적하는 다양한 방법을 여러 종류의 상인을 중심으로 밝혔다. 이재운의 이재론은 조선왕조 전체를 통해 찾아보기 힘든 경영론으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하지만 현실에서 적용되지 못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found and analyzed Haedonghwasikjeon by the scholar Lee Jae-un during the reign of Yeongjo of Joseon. Written around the year 1750, the book focuses on business and economy, and is comprised of management theories and activities of merchants. This paper analyzes the theory section of the book in three aspects. First, Lee refused to accept the conventional views of Joseon society on the economy and commerce, and advocated mercantilism and management theory. While Joseon society actively promoted a moral economy that is wary of the pursuit of profits, Lee acknowledged the human desire to be wealthy, and encouraged the yangban nobility and scholar-officials to expand their wealth. Second, Lee re-defined “rich” and “poor”, classifying the former as virtue and the latter as vice. He claimed that people should strive to prosper, and called on Joseon society to remove its prejudices against the wealthy, and to give them due respect for collecting wealth. Third, Lee presented a specific theory on gaining wealth. He highly valued the management capacity and planning of business leaders, and provided detailed, realistic methods of accumulating wealth based on case studies of various merchants. The significance of Lee’s wealth management theory lies in its originality and uniquenes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but has received criticism for being difficult to apply in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