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조직민첩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조직 내․외의 상황적 요인인 환경동태성과 노동조합 유무의 조절역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조직민첩성, 환경동태성, 노동조합, 경영성과 간에 대한 관련 이론들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조직민첩성이 경영성과(인당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은 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민첩성이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환경동태성과 노동조합 유무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조직민첩성에 대한 조직차원에서의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조직의 내․외적 상황변수인 환경동태성과 노동조합을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조직민첩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존에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노동조합 유무와 환경동태성을 실증 연구함으로써 연구의 외연적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이며, 이를 통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 through the role of moderating environmental dynamic and labor union presence,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agility and performance. [Methodology]This study derived hypotheses after reviewing theories and prior studies on organizational agility, environmental dynamic, labor union prese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EOs of small and medium firm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reviewed for the collected data,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Findings]Organizational agilit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t has been shown that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controlled by environment dynamic and labor union. [Implications]This studyattempted to analyze organizational ag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studied environmental dynamics and labor unions presence, which are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 variables of the organization. And it was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union presence and environmental dynam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gility and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