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닥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더 나아가 표본을 고성장 기업과 그렇지 않는 기업으로 구분하여 이들 간에 경영효율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제약기업의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기업의 효율성 뿐 만 아니라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통해 집단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효율적인 집단에 대해서는 경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투사값들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BCC가 1인 효율적인 DMU는 총 16개 기업이며, 이 중 고성장 기업이 아닌 기업은 총 9개 기업, 고성장 기업은 7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CCR의 효율성을 살펴보면 효율성이 1인 DMU는 총 7개 기업이며, 이 중 고성장 기업이 아닌 기업은 총 2개 기업, 고성장 기업은 5개를 보였다. 규모 효율성을 살펴보면 효율성이 1인 DMU는 총 7개 기업이며 이 중 고성장 기업이 아닌 기업은 총 2개 기업, 고성장 기업은 5개를 보였으며, 규모수익성(RTS)은 고성장 기업에서는 CRS가 6개, IRS가 5개인 반면 그렇지 않는 기업에서는 CRS가 3개, IRS가 16개를 보였다. 그러나 고성장 기업과 그렇지 않는 집단 간 차이분석결과에서는 BCC, CCR 그리고 규모수익성(RT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집단 간 경영효율성은 차별적이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성장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약기업들이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약회사들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제약기업 중 고성장 기업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서는 해당 기업 의사결정자와 투자자 그리고 기업평가 의사결정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KOSDAQ pharmaceutical firms through DEA analysis and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high-growth companies and those that did not. And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ology]The efficiency was evaluated by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commitment elements were assets, personal expenses, R&D expenses, Advertising expenses, and output element were sales, the operating income, net income. A number of relationships were investigated using t-test & various statistical methods. [Findings]There are a total of 16 efficient DMUs with a BCC of 1. Nine firms are not high-growth firms, while seven are high-growth firms. There are a total of 7 efficient DMUs with a CCR of 1. Two firms are not high-growth firms, and five are high-growth firms. A total of seven DMUs were 1 in Scale Efficiency, two were not high-growth companies, and five were high-growth firms. However, efficiency does not differ between high-growth firms and not high-growth firms. [Implications]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propose growth pla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efficiently the pharmaceutical companies operate. So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was evaluated and a variety of empirical analyzes (especially efficiency of high-growth firms) were conducted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orporation decision makers and inves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