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우리의 사회적 삶의 영역들을 생물학적 모델로 이해하고 조직하려는 관념과 실천들이 거세게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의 생물학적 조직화가 어떤 문제들을 내 포하고 있는지 그 위험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선 동물의 존재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추론에 기대어, 사회의 생물학적 조직화는 의미 상실과 자유 상실 이 상실로 체험되지 못하게 만들고 오히려 획득으로 경험되게 만드는 매우 위험한 기획 일 수 있음을 드러낸다. 다음으로는 푸코의 생명권력 논의를 통해 사회의 생물학적 조 직화와 그것이 야기하는 역설을 구체적인 정치 조건과 통치 기술의 역사적 변화라는 관 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회의 생물학적 조직화의 사회정책들은 통치의 리스크로 서 빈곤과 여기서 야기한 여러 사회문제들을 사회가 스스로 해결해 가는 일종의 자율조 정체계, 달리 말해 자율통제체계의 설립을 지향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다음으로는 하나 의 정책 사례로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정책을 이와 같은 관점들을 통해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의 생물학적 조직화와 그 위험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 되고 있는지 확인해 본다. 사회 통제에 대한 관심에서 사회를 생물학적으로 조직하고자 하는 목적에 정향되어 있는 여러 사회정책들의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를 자연 필연성의 논리가 아니라 노모스의 정치 논리로 조직하고자 하는 집합적 실천의 사회적 상상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Today, knowledge, social programs, and collective practices organizing our social lives on biological models are expanding. In this vein,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dangers of biological organization of the society.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of Heidegger about animality, first, I demonstrate that the biological organization of the society may result in the paradox of meaning and freedom: the loss of both meaning and freedom is experienced by us as an acquisition of those. Situating the biological organization of the society within Foucault’s discussions of biopower, which pay attention to concrete changes in political conditions and power technologies, second, I argue that the biological organization of the society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an automatic regulation-control system for solving social problems. From these critical perspectives, I explore dangers of the current government policies of social economy ecosystem. I suggest that the society should be organized on the principles of nomos and democratic collective practices, rather than the natural necessity of biological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