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07~2016 자료를 활용해 대졸 청년들 의 공무원 시험 준비와 합격에 나타나는 계층수준과 교육성취의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공무원 시험 준비는 하층수준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으 나, 높은 경제적 보상을 특징으로 하는 5급 공무원 시험의 경우 상층의 준비 경향이 높 게 나타났다. 교육성취에서도 낮은 교육성취 집단이 전반적으로 공무원 시험 준비를 더 많이 하고 있으나, 5급 공무원 시험의 경우 최상위대학의 준비가 두드러졌다. 공무원 시험 합격에서는 계층수준과 교육성취가 높을수록 모든 공무원 시험에서 일관되게 합 격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은 선발시험이라는 그 능력주의적 특성으로 인해 ‘기회의 평등’과 ‘공정한 경쟁’을 담보하는 제도로 여겨지지만 그 내부의 기회구조는 사 회경제적 자원에 따라 차등적으로 배분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계층과 교육성취에서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청년층에게 공무원 시험이 더욱 강한 유인을 갖지만, 실제는 또 다른 계층 재생산의 경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lass and education effect on trial to civil servant test and success in civil servant test. Analyz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07~2016 data, this paper show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rial to civil servant test and success in the test. In general, lower class shows high rate of trial, but it has differ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test. At the highest level of the civil servant test, upper class shows high rate of the trial, whereas middle and lower class show comparatively low rate of the trial. However in terms of the pass of the test, both class and education have posi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test. On the surface, civil servant test promises ‘equality of opportunity’ and ‘fair competition’ because of its meritocratic traits, however, the chance of success in the test hinges on individual socio-economic resources such as class and educational attainment. To sum up, civil servant test seems to guarantee equal opportunity of employment even for the disadvantaged groups, but the probability of the success on the test is highly affected by socio-economic backgrounds such as class and educational attai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