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온라인 마케팅이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이 전통적인 미디어를 접했을 때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온라인의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 정보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존재이다. 정보원 유형에 따라 소비자들은 정보의 설득시도를 인식하고 대처하는 행동의 차이가 나타나며 심리적 방어기제를 활용하게 된다. 라서 본 연구는 지인 유형의 정보과 전문가 유형의 정보에 따른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며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설득지식과 정보 공신력을 정의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제시하고 연구 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소비자 400명을 상대로 설문을 진행한 후 SPSS과 AMO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론을 제시하고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정보원 유형에 따른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며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의 차이로 인해 정보 공신력에 대한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1과 가설2가 모두 지지 되였다. 독창성/가치: 정보원 유형에 따른 설득지식의 활성화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설득지식이 정보원 유형과 정보 공신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의 활성화 수준에 따라서 정보 공신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설명하였다.


Purpose: Online marketing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media. Consumers are exposed to persuasion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types of online sources and are actively coping with such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evel of activation of persuasion knowledge among the information type of the acquaintance type and the expertise type. Composition/Logic: To define persuasion knowledge and source credibility, this paper presents previous studies and draws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Next, surveyed 400 Chinese consumers,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and AMOS, and verified the research hypothesis. Finall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erived. Findings: Consumers' perceptions of information source type showed differences in activation levels of knowledge, and differences in source credibility were significant due to differences in persuasion knowledge activation level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ve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ctivation level of persuasion knowledge according to type of information source and explained that persuasion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between information source type and source cred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