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詩經의 ‘여성화자시’는 여성문학의 원류가 되는 작품들로 선진시기 여성의 생활상과 여성의식 등을 고찰하는데 중요한 자료들이다. 또한 이들 작품은 중국 여성문학에 있어 개인 창작 이전의 집체창작의 양상을 고찰할수 있어 더욱 중요하다. 詩經 305수의 시 중 ‘여성화자시’는 54수(風詩 49首, 雅詩 5首) 정도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鄭風」이 가장 많다. 그럼에도 「鄭風」의 시는 오랫동안 淫詩라 하여 후대 연구가들이 경시해 왔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이시들이 여성들에 의해 지어진 최초의 여성문학작품임을 시사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鄭風」중 ‘여성화자시’를 대상으로 내용과 형식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 작품들이 후대 여성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해 보면 첫째, 내용상 「鄭風」속 여성화자는 솔직하고 대담한 태도를 드러낸다. 둘째, 형식상 「鄭風」의 ‘여성화자시’는 細音의 押韻字를 빈번히 사용하고 있고, 反問式과 排比式의 구법을 운용해 예술적 성취를 이루고 있다. 셋째, 여성화자의 이미지, 시적 분위기, 작시법 등은 후대 여성문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불행과 한의 표상으로 그려진 여성화자의 이미지라든가 원망하는 여성화자의 이미지 등은 시경⋅정풍에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후대 여성작가의 작품에서 늘 등장하는 幽怨과 哀傷의 시적분위기 또한 시경⋅정풍에서 그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중국여성문학에서 즐겨 사용하는 ‘自然之聲(가슴에서 우러러 나온 창작으로 독자의 심금을 울리는)’의 작시법과 음악미를 살려 예술성을 끌어올리는 작시법 또한 『시경⋅정풍』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Female narration poems’ of Shijing, which are the basis of female literature, are very important resources in reviewing the lifestyle and female consciousness of women during pre-Qin dynasty. These works are also important in that they indicate the aspect of collective creation before individual creation in female literature of China. Among 305 pieces of poems in Shijing, female narration poems are 54 pieces(feng shi-風詩 49 pieces, court poem-雅詩 5 pieces), among which 「Zheng Feng」is the majority. Nevertheless, 「Zheng Feng」was ignored by later researchers by being considered as erotic poetry. However, this indicates that these poems are the first female literature created by wome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forms in ‘female narration poems’ of 「Zheng Feng」 are reviewed,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hese works on later female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narrators in 「Zheng Feng」show leading and active attitud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Second, in the characteristics of forms, female narration poems frequently use rhyming words of fine tone, and the artistic accomplishments are made by the structural methods of rhetorical question and arrange in order. Third, the image, poetic mood and versification have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later female literature. For example, the female narrator images described as the symbol of resentment and blaming appear in Shijing⋅Zheng Feng, and the poetic mood of bitterness hidden in the heart and grief also appear in Shijing⋅Zheng Feng. The versification of ‘自然之聲(Touching readers’ heart by heartfelt creation)’ and the versification of enhancing artistic value by rhythmical charm are also found in Shijing⋅Zheng Feng.


≪詩經≫中的部分詩以女性角度來寫, 這些作品是中國文學史上初次登場, 有人臆測它們是女性所寫, 但鑒於 ≪詩經≫中大多數詩歌的作者並無可考, 只能從詩作本身推論其為女性所作, 故而將此類詩歌定名爲 「女性話者作品」, 以區別現已通用的 「女性作家作品」。 在 ≪詩經≫三百零五首詩歌當中, 女性話者作品有五十四首左右(風詩四十九首, 雅詩五首), 而這當中又以 <鄭風>收錄最多, 因此在本文以 <鄭風>中的女性話者作品來分析, 考察當時女性的面貌以及其社會地位。接着探討這些作品對後代女性文學的影響。 内容上<鄭風>的大部分女性話者帶有主動而積極的態度, 這是後代女性身上少有的氣質, 它反映了當時女性的社會地位。還有形式上 <鄭風>中的女性話者作品常用細音的押韻字, 更使用反問式、排比式的句法, 實現卓越的藝術成就。接著 <鄭風>中的女性話者作品對後代女性作家作品有直接的影響, 就是呈現在宋明代女性作家作品上常出現的幽怨而哀傷的氣氛, 不也 是承接了 <鄭風>女性話者作品的主要特色。 <鄭風>中的女性話者作品昭示了鄭國女性追求獨立自主、自由平等的價值觀念, 它還成就了後代女性文學的基礎。因此筆者認爲這對研究女性文學的最重要解碼, 具有深遠的文學價值、歷史價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