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외상후 울분장애라는 새로운 진단범주로 연구되기 시작한 울분은 ‘앵그리 사회’라고 일컬어지는 한국 사회의 심리적 단면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다. 본고의 목적은 울분을 목회신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임상사례와 관련시켜 외상후 울분장애를 소개하고(II) 울분자에 대한 목회 돌봄과 상담 방식을 제시하며(III), 울분의 목회신학적 이해를 시도하고(IV), 이를 통해 목회신학의 의미와 특징을 밝혀준다. 외상후 울분 장애는 사회적 차별, 직장이나 가정에서의 갈등, 심각한 질병, 이혼, 해직 등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이례적인 사건으로 촉발되며, 부당함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요구가 주요한 특징이며, 울분, 분노, 무기력감, 자기 비난 등 부정적인 감정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정서라고 이해된다. 외상후 울분 장애를 통해 정의된 울분은 한과 화병과 같은 문화증후군과 비교될 수 있고, 북한이탈주민과 외국인 노동자들, 산재 피해자들의 부정적인 감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울분과 모멸감을 함께 연결시켜 고려한다면 곤고한 삶을 살고 있는 한국인의 심리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울분과 관련되어 고통과 신정론, 복수와 용서, 지혜 등 세 가지 주제를 목회신학적으로 고찰한다. 울분을 지닌 자의 처지와 상황을 충분히 공감하면서 신실하게 그와 동행하며, 고통과 고난의 의미를 소통하고, 치유 과정에서 일어나는 용서를 경험하게 하고, 삶의 부정적인 사건들에 대응하는 지혜를 습득하도록 돕는 일은 목회적인 상황에서 목회적 양식과 관점으로 전개하는 상황신학으로서의 목회신학의 정의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목회신학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본고는 죄책감, 모멸감, 분노, 수치심 등 더 많은 주제들이 목회신학적으로 연구되어 한국 교회와 사회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목회현장에서 하나님의 현존이 더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mbitterment, which began to receive scholarly atten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diagnostic category named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PTED below), is a useful concept for understanding a characteristic psychological feature of Korean society often called ‘the angry society.’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embitterment from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with recourse to a clinical case it introduces the notion of PTED (II), provides a basic outlin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those with embitterment(III), and seeks to investigate pastor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embitterment(IV), which will elucidat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features of pastoral theology. PTED is precipitated by an ordinary, but exceptional negative experience such as social discrimination, conflicts in the workplace and the family, serious illness, divorce, and dismissal. Its main characteristics consists in perception of unjustice and unfairness as well as demands of justice, and it is an emotion encompassing negative feelings such as embitterment, rage, helplessness. and self-blame. Embitterment defined through PTED may be compared with culture-bound angry syndromes, Haan and Hwabyung, and serves to understand negative emotions of defectors from North Korea, foreign workers, and those suffering from occupational injuries. Embitterment, understood together with humiliation, may contribute to greater acquaintance with the Korean mind in the midst of their harsh life experiences. This study also provides pastor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three subjects closely associated with embitterment, namely pains, suffering and theodicy, revenge and forgiveness, and wisdom. It is demonstrated that the definition of pastoral theology as a contextual theology developed in the pastoral context and in pastoral mode or from the pastoral perspective comes to the fore when we faithfully accompany those with embitterment by sufficiently empathizing their situations and conditions, communicate the meaning of pains and suffering with them, and help them to experience forgiveness in the process of healing, and to acquire wisdom for coping with negative life events. Finally this study shows expectation that pastoral theological study of more topics for example, guilty, humiliation, anger, and shame, will not only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 and society, but also provide a channel of greater presence of G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