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부르주아 반동’에서 ‘부르주아 계몽’이라는 표상으로 변화된 이광수 문학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평가에 기반하여 이광수의 장편소설 4권에 대한 남북한의 문학사적 인식의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광수 문학에 대한 북한 문학사의 평가 변화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주체사실주의를 강조하는 북한문학의 지배담론이 지닌 문학적 경직성과 유연성을 보여주는 바로미터에 해당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이광수 문학에 대한 평가는 배제의 대상에서 복권의 대상으로 변화한다. 해방과 분단 이래로 ‘부르주아 반동작가’로 명명되던 작가에 대한 비난이 ‘부르주아 계몽작가’로 변화되면서 객관적 공정성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광수 문학 작품에 대한 북한의 문학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텍스트의 미학적 특성에 대한 남북한의 인식 차이를 규명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무정』, 『개척자』, 『혁명가의 안해』, 『흙』 등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북한에서의 문학사적 시각의 구체성을 점검하고 남한에서의 미학적 평가를 함께 거론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의 이광수 문학 작품에 대한 미시적 해석의 차이를 드러내었다. 이 작업은 동일 텍스트에 대한 남북한의 문학적 인식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도래할 한반도 평화체제 속에서 남북한 문학의 텍스트 연구방법과 관점을 미리 의미화하는 사전 정지작업에 해당한다. ‘주체사실주의’라는 특유의 리얼리즘적 기율에 준하는 북한 문학사의 비판적 평가와 함께 문학사회학적 특성과 대중성, 문체와 미학성에 이르는 다양한 평가 준거를 활용하는 남한 연구자들의 시각을 함께 포괄할 때 이광수 문학에 대한 입체적 해석과 평가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광수의 4권의 장편소설에 대한 북한문학의 입장은 남한문학과의 접점을 마련하면서도 여전히 시각과 관점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이 남과 북의 70년 넘은 분단체제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개척자』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혁명가의 안해』와 『흙』에 대한 비판적 평가는 북한문학의 인식이 남한문학에서의 다층적 평가와 사뭇 다른 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무정』에 대한 남북한의 시각 차이는 많은 부분 좁혀지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것은 근대문학의 전통을 계급문학으로 한정했을 때 발생하는 문학적 외연의 축소가 문학적 전통의 왜소화를 가져왔다는 북쪽 내부에서의 문제제기가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점진적이나마 문학적 전통의 공과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기록하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북한의 문학사가 변화 기술되고 있는 셈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on Lee Kwang Soo literature that changed from 'bourgeois rebellion' to 'bourgeois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literary percep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on Lee Kwang Soo's 4 novels. The change in the evalu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on Lee Kwang Soo literature is a barometer showing the literacy rigidity and flexibility of North Korean literature. Since the mid-1980s, the evaluation of Lee Kwang Soo literature has changed from the object of exclusion to the object of reinstatement. Since the liberation and division, the criticism of the artist, who was named "the author of bourgeois rebellion," is transformed into a "bourgeois enlightened writer". This shows that we are moving toward restoring objective fairness.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two Koreas 'perceptions abou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exts, focusing on North Korean literary historical evaluations of Lee Kwang-Soo's novel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specificity of literary historical viewpoints in North Korea centered on texts such as Heartlessness, Pioneer, The wife of the revolutionary, The soil. In addition, the aesthetic evaluation in South Korea was discussed together. Therefore, it revealed the difference of the microscopic interpretation of Lee Kwang Soo literature works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literary perception between the two Koreas on the same text. And it corresponds to the work of pre-semanticizing the methods and perspectives of text studying the literature of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coming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ritical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s based on the distinctive realism of "subjective reality". South Korean researchers use a variety of evaluation criteria ranging from literary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popularity, style and aesthetics. When these two perspectives are includ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evaluate stereotyped Lee Kwang Soo literature. The posi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Lee Kwang Soo's long-story novel set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outh Korean literature but still shows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and viewpoint. It is also a part of the reality of the divided system of the South and the North over 70 years.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ioneer and the critical evaluation of The wife of the revolutionary and The soil show that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is different from the multilayered evaluation in South Korean literature.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view between the two Koreas regarding Heartlessness is narrowed a lot. It is presumed tha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duction of the literary outgrowth which occurred while limiting the tradition of modern literature to the class literature with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led to the diminution of the literary tradition. As a result, Nor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has been described in a positive direction that records the lessons of literary tradition objectively and fai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