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전쟁기에 건립된 유엔기념공원은 유엔군 전몰장병을 위한 군사묘지로 만들어졌으나 부산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도시공간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2000년대 이후 기념과 교육의 중심으로 그 역할을 넓히고 있다. 유엔기념공원이 지닌 묘지, 도시공간, 기념시설이라는 세 층위의 정체성은 서로 간섭하거나 길항하며 중층적으로 작동한다. 본래 이 군사묘지는 추도의 공간으로서 일상의 공간과는 구분되었지만 1960년대 이후 묘역 일대에서 지역개발이 진행되었다. 그에 따라 유엔기념공원의 ‘묘지’로서의 정체성은 숨겨지거나 완화되었고, 그 대신 이 공간은 녹지 및 문화공간으로 기능하며 ‘도시공간’의 일부로 거듭났다. 한편 2000년대 이후 이 공간은 유가족 이외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념공간’으로 재편되었다. 그러나 이 공간에서는 냉전 시기의 전쟁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군사묘지의 특징이 여전히 강하게 드러난다. 이와 같은 공간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엔기념공원의 공간구성과 의미구조가 기념공간으로서 충분한 설득력을 갖추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유엔기념공원의 공간구성은 기념의 대상인 외국인과 기념의 주체인 한국인 사이의 불일치를 드러내므로, 한국인의 기념공간으로서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또한 냉전 시대의 전쟁인식을 무비판적, 관습적으로 제시하는 공간구성은 전쟁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거나 매장된 전몰장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방문객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유엔기념공원은 인접 도시공간 및 다른 기념시설들과의 의미있는 연계가 미비하여 이 장소가 기념공간으로서의 갖는 한계를 보완하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제언으로서, 본 연구는 유엔기념공원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동시대적, 보편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의미상의 재편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는 구체적으로 공간구성 개선 및 주변 시설들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was constructed as a military cemetery of the United Nations Army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periods of urban development of Busan, its location found itself in urbanizing periphery and the cemetery became a part of urban landscape. In 2000 the role of the cemetery was broadened to a place of commemoration. Three identities of UN Cemetery such as cemetery, urban green zone and memorial, have been not in accordance with one another. This cemetery as a place of mourn was divided from the area of daily life, but through regional development, the place’s identity as a Cemetery was hidden or eased, and instead the space has been recognized as part of urban space. Since the 2000s, the space has been reorganized as a memorial for visitors other than bereaved familie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cemetery remain strong in this space. Based on this spatial analysis, the study pointed out that spatial composition and semantic structure of the UN Memorial cemetery function as the reasons of the structural problems, which weaken the persuasiveness of the cemetery as a commemorative space. To suggest guidelines for further research to build a solution of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recommends maintaining its historical and representative reputation, getting the main value of the site to be reinterpreted by universal and contemporary dimension, and enhancing the network with its neighbor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