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에서 나타나는 질문 유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질문이 담화 내에서 적절한 화용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한국어 화용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화・청자의 친소, 나이 및 권력, 대화 상황 등을 고려한 9개의 문항을 설정하고 한국어 초・중・고급 학습자 96명의 역할극 녹음 자료와 함께 한국인 모어 화자 6쌍의 대화도 수집하였다. 또한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질문의 유형을 크게 응답 요구, 확인, 요청, 서술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화용 기능과 전략적 기능을 세분화하여 정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질문 전략과 화용 기능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초급 학습자의 경우 단순 호응이나 제안 기능의 질문을 다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어 모어 화자는 대화의 도입부에서 정보 확인 기능의 질문이 다수 나타났는데, 이는 화・청자의 맥락을 상기시킨 후 본론에 진입하는 전략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에서는 한국인에 비해 느낌을 서술하는 의문 표현이 다양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황별 질문 전략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서 청자에게 부담을 주거나 한국인 간의 대화 전략과 다른 방식의 요청이나 제의/제안 질문을 사용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질문을 포함한 화용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의문문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맥락을 보여주되 질문의 사회문화적 해석 가능성도 함께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of question type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spoken discourse and to analyze the Korean learners’ questions in view of pragmatic function in the contex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nine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such as conversation situation, the relative degree of intimacy, age, and power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Then, this study collected recorded spoken data from Korean 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s well as six pairs of Korean native speakers’ data in order to compare with Korean learners. In addition, the question types were categorized into demand-response, confirmation, request, and description, then pragmatic and strategic functions were segmented. The analysis of the question strategies in the Korean learners’ spoken discourse indicates the following: 1) Novice Korean speakers used questions substantially functioning mere response or sugges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 number of information check questions in Korean natives’ talk, it means that Korean natives try to confirm their shared context before they get into the point. 2) More questions of describing feelings in the Korean learners’ conversation were found compare to Korean natives’. 3) From the situational point of view, some cases were showed that the Korean learners put a burden on the listener, or the learners used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for request, offer, or suggestion compare to Korean natives' conversation. The research finding advocates that Korean learners need pragmatic education including questions. Especially, it suggests various types of functions and contexts that perform questions as well as it should be also included the questions’ interpretive possi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