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조선 초・중기의 불교와 유교의 심성론을 살펴보고 이들이 서로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었는지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연구자가 밝히고자 하는 것은 통념적 방식의 유불 역할분담론-유교는 현세를 지향하며 정치를 담당하고 불교는 내세를 지향하며 종교를 담당한다-에 기초한 유불조화론이나 유불대립론을 넘어, 이들의 심성론과 상호인식 속에서 유불회통의 지점이 확인된다는 점이다. 연구자가 확인한 유불회통의 지점을 불교의 개념으로 말하면 공적영지(空寂靈知)이고 유교의 개념으로 말하면 미발지각(未發知覺)이다. 공적영지와 미발지각 개념은 모두 심(心)의 자성본용, 즉 심체(心體) 본래의 지각활동을 가리킨다. 조선 초・중기의 불교인과 유교인은 그들 스스로의 심성론을 통해 불교와 유교의 철학적 회통성을 통찰하고 있었다. 다만 불교는 이 회통성을 처음부터 일관되게 알고 주장하였던 것에 비하여 유교는 15세기 건국 초기로부터 17세기에 이르는 동안 대립의 단계에서 접근의 단계를 지나 회통의 단계로 접어드는 점진적 변화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Universal-Mind-Theory and Mutual Cognition between Neo-Confucian ists and Buddhists in early-middle Joseon Era. Through these discourse, I would like to clarify the philosophi cally common convergence zone between these two teachings beyond to the opinions of merely role–shar ing model or simply good-neighbor model. This philosophical convergence point of these two teachings is called ‘Full-Empti ness-Spiritual-Knowing&Awakening(空寂靈知)’(Buddhism’s term) or ‘Unconscious Knowing& Awakening(未發知覺)’(Neo-Confuci anism’s term). In These two concepts are all in volved one meaning of ‘the Universal-Mind’s own Knowing&Awakening nature(自性本用).’ Buddhists and Neo-Confucianists in early-middle Joseon era already knew these philosophical convergence of their two teachings. Buddhists recognized it constantly whereas Neo-Cofucianists changed slowly their attitude about Buddhism from antagonization to conver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