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어린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점차 강조되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생애과정이 역사적 시간과 장소에 배태되어 형성된다는 생애과정이론을 적용하여,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그의 신체적·심리적 적응 간의 관련성이 시대, 아버지의 연령, 코호트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두 가지 주요 전국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 1에서는 1999년, 2004년, 2009년,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아버지의 양육시간과 건강위험행동(유흥/음주시간, 흡연시간) 간의 횡단적 관계에 있어서 시대, 연령, 코호트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고, 연구 2에서는 한국아동패널 4-7차년도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자녀가 3-6세 동안 아버지의 양육참여 수준과 우울증상의 상호영향관계와 아버지 연령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1 결과,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아버지의 유아동기 자녀에 대한 양육 시간과 참여율 모두 점차 증가하였다. 시대와 코호트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는데, 과거의 아버지들과 가장 예전 코호트 아버지들은 양육참여와 건강위험행동 간의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거나 제한적인 반면, 최근의 아버지들은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길수록 건강위험행동이 줄어드는 영향관계가 유의하였다. 연구 2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다음 해의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영향은 나이든 아버지들에 비해 젊은 아버지들에게서 자녀가 더 어린 시기부터 오랫동안 나타나 연령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두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어린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신체적·정신적 적응에 이로우며, 이러한 영향관계는 과거의 나이든 아버지들에 비해 최근 젊은 아버지들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다양한 시대, 연령, 코호트의 아버지들을 둘러싼 사회역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Drawn upon the life course theory, which assumes that an individual's life course is embedded within the historical time and plac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and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ould differ by time periods, fathers’ ages, and cohorts. We used two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s. Using data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 assessed in 1999, 2004, 2009, and 2014, study 1 analyzed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between the amount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and their health risking behaviors (nightlife or drinking and smoking) and the moderating roles of time periods (years), fathers’ age groups, and cohort groups in this association. Findings indicated that paternal involvement in care of young children was substantially increased from 1999 to 2014. In addition, the fathers in earlier periods and the earliest cohort showed limited associations between paternal involvement and health risking behaviors, while fathers in more recent cohorts showed a significant an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involvement and health risking behaviors. In Study 2, data from 4-7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o examine longitudinal and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and fathers’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age (older or younger than 40 years old) in these associations. Cross-lagged panel models and multigroup analyses showed that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significantly decreased fathers’ depressive symptoms in the following years for both age groups. However, for the younger fathers, such beneficial effects became apparent when the child was younger, which also remained longer than for the older fathers. It was concluded that contemporary young fathers, compared with the ones in older cohorts, tended to experience more beneficial effects of active involvement in childcare on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fathers in different periods, ages, and cohor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