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여기에 참여한 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를 비롯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직집단을 교육 행정가와 교사로 구분하여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자료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코딩 틀을 개발하고 코딩 틀에 따라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술꽃 씨앗학교의의미와 성과와 관련하여 충분한 예산을 4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의 충분한 제공, 학생의창의성·표현력·인성 함양, 교사의 문화예술역량 강화, 학교 전체를 변화시키는 문화예술교육의 잠재력,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대, 학부모 및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있었다. 그리고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문제점으로는 예산 단절에 따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성 위협, 교사 보상체계 부족, 유관 기관 간 협력 및 정보공유 부족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산 중심에서 실천 중심으로의인식의 전환, 교사 인증제 등의 보상체계 마련, 학교문화예술교육 참여 교사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자율적인 현장연구로연결되는 온오프라인 시스템 구축 등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s major stakeholders of Arts-Flower Seeds School, one of the school arts education supporting program perceiv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supporting program. Additionally, it aimed to suggest ideas for improvement of school arts education as well as Arts-Flower Seeds School, based o n results. The s tudy categorized participants into two focus groups: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such as principal or supervisor. Collected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using NVivo.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ubstantial grant for 4 years has guaranteed enough opportunity of experiencing arts, enhanced teachers’ ability of arts, reformed the entire school with arts education, spread positive awareness of school’s role, encouraged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o experience arts, and partnered with the local community. Two focus groups perceived problems of the program as follows; threat to sustainability cased by the budget cutoff after 4 years, lack of compensation system for teacher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genc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practice-oriented attitude rather than budget, and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on/off-line communication system encouraging teachers’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