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 식민지기 보험은 상업적 사업으로서 국내에 도입되었다. 초기 생명보험 회사는 국내에 진출한 일본과 기타 외국 회사와 민간인을 대상으로 사업을 개시했다. 인간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생명보험의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보험회사들은 ‘공공성’을 강조했다. 그들이 주장하는 공공성은 자본주의의 포장지이기도 했으나, 그 자체로 좋은 홍보 수단이기도 했다. 일본에서 ‘간이생명보험’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1920년대부터 조선에서도 간이생명보험 도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착취와 동원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조선인들의 의심 가득한 눈초리 속에, 1929년 조선에서 간이생명보험이 시작되었다. 조선간이생명보험은 복잡한 절차와 건강 진료 없이 간편하게 가입 가능한 저가 보험이었다. 일제 당국의 대대적인 홍보와 권유 속에서, 조선간이생명보험은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다. 일제 당국도 조선간이생명보험 가입을 권유하며 공공성을 강조했다. 만주사변 이후, 전시체제로 접어들면서 일제 당국은 조선간이생명보험 가입 권유에 박차를 가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입 권유는 제도를 통하여 점점 압박과 강제가 되었다. 여전히 공공성을 내세우기는 했지만, 개인의 행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원적인 국가의 성공을 위해 개인을 동원했다. 그러나 패전 후, 수많은 보험 가입자의 증서는 휴지조각이 되고 말았다. <주제어> 보험, 생명보험, 조선간이생명보험, 간이보험, 공공성, 전시체제, 동원오늘날 남아있는 일제 식민지기의 보험증서나 영수장에는, 보험 가입을 강권하는 분위기 속에서 각자가 ‘국가’를 다른 방식으로 생각했던 흔적이 남아있다. 특히 가진 것이 없는 중하층 계급의 조선인일수록, 간이보험 가입은 수탈의 주체에게 한줌의 미래를 담보 잡히는 모양새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패전 후 그 기대는 산산조각나버렸고, 식민권력이 내세웠던 공공성이 얼마나 허망한 기만이었는지 드러났다.


Life insurance was introduced as a commercial business in the Japanese period. The initial life insurance companies opened their business for Japanese and other foreign companies and civilians who entered Korea. Because of the essential nature of life insurance, which was used as collateral for human life, insurance companies emphasized "publicness." The publicness they claim was both a wrapping paper of capitalism, but a good means of publicity in itself.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implified life insurance system" in Japan,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simplified life insurance also began in the 1920s. Amid the Koreans’ suspicious eyes that it could serve as a mean of exploitation and mobilization, the simplified life insurance began in Korea in 1929. The insurance was a low-cost insurance policy that could easily be subscribed without complicated procedures and tests. Due to the massive publicity and recommendation effect of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the insurance posted better-than-expected performance. Japanese authorities also urged to join the insurance, stressing its publicnes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tepped up its call to buy the insurance. As time went by, the insurance policy became more and more pressure and restraint through the system. It still advocated publicness, but mobilized individuals for the success of a single nation, not for individual happiness. After the defeat, however, many policyholders' certificates were thrown into scraps of paper. In today's remaining insurance policies, there are traces of how each person considered “the state” in a different way in an atmosphere of compelling insurance coverage. Especially the middle and lower class Koreans who had nothing, the insurance was nothing short of securing a handful of future for the one who robbed them. After the defeat of Japanese, however, the expectations were shattered, and it was revealed how vainly deceit was in the publicness of the colonial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