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환경 인식 유형을 Q방법론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Q방법론은 인간의 인식과 태도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환경과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주관성을 알아보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25개의 진술문에 대한 초등학생 21명의 응답을 토대로 초등학생의 환경 인식 유형을 4가지(생태적 세계시민주의, 영토적 시민주의, 세계적 미래주의, 낭만적 인간 중심주의)로 추출하였다. 첫째, 생태적 세계시민주의에 속하는 학생들은 친환경적 태도 및 실천과 관련된 행동을 중요하게 여겼다. 둘째, 영토적 시민주의에 속하는 학생들은 현재 세대의 문제 해결을 중요시 여겼으나 미래 세대에 대한 고려는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셋째, 세계적 미래주의 유형의 학생들은 미래 세대에 대한 배려를 중시하고, 보다 거시적 스케일로 환경 문제를 조망한다. 마지막으로 낭만적 인간 중심주의 유형의 학생들은 기술 발전에 의해 환경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환경 인식 유형을 드러냄으로써 앞으로 환경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Q methodology. Q methodology is well developed to figure out person’s subjectivity on specific issues. In this research 25 statements on ecological awareness are sorted by 21 Q sorters, then 4 types of perception on ecological awar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xtracted; ecological cosmopolitanism, territorial civicism, global futurism, romantic anthropocentricism. First, ecological cosmopolitanism considers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to their practice to be important. Second, territorial civicism perceives the consideration of future generations as negative nonetheless, emphasizes problem solving of the present generation. Third, global futurism cares about consideration for future generations. And they look at environmental issues more macroscopically. Finally, romantic anthropocentricism recognizes that environmental advances can be solved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This result shows us ecological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