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장소 애착의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대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장소 애착의 기억에 관한 글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근거 이론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은 일상의 장소나 강렬한 경험, 장소의 탐색과 발견을 애착의 기억으로 회상하고 있었다. 정서적 점화 효과, 감각적 점화 효과, 장소의 변화, 자연환경의 우수성은 장소를 기억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개인의 안식처, 친족 유대감, 집단 소속감, 장소 편의성은 장소에서 개인이 독립적 자아로의 성장하고, 내적 역량을 함양하며 관계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대학생이 스스로를 장소와 동일시하거나 장소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의 결과를 추상화해 장소 애착의 구조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장소 애착은 장소의 발견과 인식, 체화된 인지, 장소 의존, 장소 정체성, 장소 의미와 인과적 상관관계에 놓여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lace attachment an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place attachment elements by using grounded theory.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f the study, 77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 memory of place attachment,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it as a grounde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llege student was recalling the places of daily life, intense experience, the search and discovery of places as memories of attachment. Emotional priming effect, sensory priming effect, change of place, and the excell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was working as positive factors in remembering places, and personal resting place, kinship, group membership, and place convenience were affecting the college students equating themselves with place or giving meaning to place by individuals grew into independent identities, improving inner competency, form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were abstracted to derive a structured model of place attachment. The results verified that place attachment lies in causal correlation between place discovery and recognition, embodied cognition, place dependence, place identity, place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