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코란의 고전 아랍어(العربية الفصحى)와 현대 요르단과 한국 고등학교 아랍어 교과서의 표준 아랍어를 통합성지수와 구조적인 특성면에서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아랍어 문장 내에서는 코란과 현대 아랍어 모두에서 명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동사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코란의 아랍어에서는 동사 사용이 많고, 현대 아랍어는 명사 사용 빈도가 높은 특성을 보였다. - 코란에서는 불변사류가 전체 품사 수 중 34%를 차지한다. 이는 현대 아랍어에 비해서 1.48배 많이 사용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란의 통합성지수가 현대 요르단과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의 표준 아랍어의 통합성지수보다 10%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코란의 텍스트가 현대 교과서에 사용된 표준 아랍어 보다 더 많은 문법적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코란과 현대 표준 아랍어의 격 표지 중에는 소유격 표지 형태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코란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보다 연결형태가 적게 사용되어서 소유격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 코란에서는 불변사류, 즉 지배소가 현대 교과서보다 1.48배 정도 많이 사용되어, 현대 아랍어와 달리 목적격이 주격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 한국 교과서가 요르단 교과서보다 의 격 표지가 적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외래어 인명과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 한국 교과서가 초급용 교재인 점을 고려하면 주격이 가장 많은 이유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교과서가 초급 과정의 교재임에도 불구하고 통합성지수가 4.43이 유지된 이유는 고유명사, 형용사, 수사가 사용 빈도가 다른 텍스트에 비해서 많았기 때문이다. - 요르단의 지리 교과서는 정보적 텍스트의 특성상 대화문이 없기 때문에 대명사, 의문사, 호격사, 부정사 등의 사용이 다른 테스트에 비해서 적다. 본 연구는 코란과 현대 요르단과 한국의 아랍어 교과서를 분석, 비교한 것이다. 그러므로 코란의 고전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 사이에 나타나는 간극과 통시적인 변화 양상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코란의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의 차이를 연구함으로 달라진 언어 특성과 구조가 무엇인지를 부분적으로 조명하여, 향후 코란의 아랍어가 보여주는 표준성을 현대 표준 아랍어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고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통시적인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시대별, 단계별 아랍어 표준어의 통합성 지수를 비교 분석하면 객관적으로 어떠한 요인 때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보다 많은 텍스트를 연구하면 고전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의 차이를 특정할 수 있고, 고전 아랍어의 표준성을 현대 아랍어 텍스트에서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 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rabic is a polysynthetic language in terms of its morphological synthesi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dexes of synthesis for texts from the Quran, a Jordanian high school textbook (Geography of Jordan, 10th grade) and Arabic book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Arabic I, Arabic II, Arab Culture). First, to measure the degree of morphological synthesis of Classical Quranic Arabic (fuṣḥā), the study calculated 5,000 synthetic units from the Quran. Next, to compare this result with other texts, the study examined a Jordanian high school textbook and Arabic textbook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calculating 5,000 synthetic units from each. While these indexes of synthesis do not demonstrat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it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texts have different structures, especially in the usage of verbs. Thus, despite the similar index values of the Modern Standard Arabic and Classical Arabic (fuṣḥā), each exhibit distinct contents and stru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dentify how much Modern Standard Arabic has diverged from Classical Arabic. It will also help provide a mechanism to bring Modern Standard Arabic closer to Classical Arabic and to ensure that the former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l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