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서울시민이 느끼는 위험인식과 환경보건위해에 대한 의견,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심리학적 방법에 따른 분석을 통해 환경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자료는 서울시에 1년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총 6일간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위험인식에 관한 도구는 심리측정패러다임 연구를 참고하여 환경보건분야로 한정한 20개의 위해요소를 도출하고 6개의 위험특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예방 정책 필요성을 추가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위험인식 구조를 2개로 축소한 후 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20개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위험인식 순위를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평균값 순으로 나열한 결과 방사능의 위험인식이 가장 높았고 정책 필요성 순위는 미세먼지가 가장 높았으며 항목마다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서울시민의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서울시민의 일반적인 위험인식을 평균값에 따라 도출한 결과 방사능, 산업폐수, 환경호르몬 순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미세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폐수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6개의 위험특성은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와 위험의 통제가능성 정도의 2개의 속성과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가 높을수록,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이 낮을수록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서울시민이 체감하는 환경보건위해는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위험의 두려운 정도와 통제가능성 정도에 따라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이 변화하였다. 환경보건정책 집행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적절한 조정과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opinions on environmental health risks, and the effects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through a quantitative psychology method and to build a basic reference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r 6 days in August 2017 from 2,000 adult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who had lived in Seoul for more than 1 year. The present study referenced a psychometric paradigm study for the risk perception tool, identified 20 perceived risk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and measured 6 risk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dded general perception and the needs of preventative policies, used factor analysis to reduce factors into two risk perception structures, and measured the size of their effects. Results: The average of Seoul citizens’ general perception about environmental health risks was calculated by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revealed that the risk they perceived as most hazardous was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regards to policy needs, the respondents said particulate matter needed policies mo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6 risk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two attributes—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and four different types. Higher dread risk and lower controllable risk had a larger effect on both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Conclusions: A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environmental health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and general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varied depending on 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 When enforc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 above, identify priorities, and provide appropriate adjustments and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