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교 교양일본어 초급교재 어휘의 교재 개발을 위해, 현재 교재에서 사용되고 있는 품사별 어휘상위어를 추출하여 일본어균형코퍼스 BCCWJ에서의 사용빈도수와 비교・고찰하였다. 교재의 명사, 동사, い형용사, な형용사, 종조사의 상위 10개어는 BCCWJ의 사용빈도수에서 순위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사용빈도수 수치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품사에 따라 교과서 상위 10위권 밖의 어휘가 BCCWJ에서는 상위권에 진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문법사항 제시에 중점을 두어 어휘를 제시하거나, 제시 상황에 쓰일 법한 어휘를 실제 사용되는 빈도수와 상관없이 제시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휘의 표기 측면에서도 휴대전화와 같이 ‘携帯電話’, ‘携帯’, ‘ケータイ’, ‘ケイタイ’ 의 여러 가지 표기가 혼재할 경우, BCCWJ를 통해 양적우위를 점유하고 있는 표기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실라버스 측면에서 교재 어휘의 BCCWJ에서의 사용빈도수를 품사 간으로 확대하여 비교한 결과, 동사는어휘수가 다른 품사에 비해 월등하게 많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품사보다 먼저 제시한 교재는 1권뿐이었으며, な 형용사는 현저히 적은 사용빈도수에도 い형용사와 같은 비중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실용적인 일본어 학습을 위한 교양일본어 초급교재 개발을 위해서는 문법 제시에 필요한 어휘를 선택하여 제시하기 보다는 일본어 코퍼스를 활용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를 선택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develop a textbook for elementary textbook vocabulary for Japanese language course in univeristy liberal arts program in Korea, this paper extracted high ranking words in each part of speech that are in use in the current textbooks, then compared them with the frequency of use in BCCWJ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The top 10 words of nouns, verbs, い adjectives, な adjectives and the sentence-final particles in the textbooks not only have different ranks in frequency of use but also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in its figure of frequency of use in BCCWJ. Depending on the part of speech, some words outside the top 10 in the textbooks even entered high ranks in the frequency of use in BCCWJ. This is probabaly because words were used focusing on showing grammatical cases or words which would be used in suggested situations were used regardless of actual frequency of use. As in the case of ‘mobile phone’ which has various types of writing methods such as ‘携帯電話’, ‘携帯’, ‘ケータイ’, ‘ケイタイ’, it was easy to find a writing method which had superiority in quantity through BCCWJ. Also in view of syllabus, the frequency of use of words in textbooks in BCCWJ was expanded to parts of speech for comparison. Verbs came first in only 1 textbookeven though verbs had notably many words compared to other parts of speech and in spite of noticeably less using frequency of な adjective, it is evenly shown with い adjective. It is recommended to suggest words that are most frequently used through utilizing Japanese corpus rather than to suggest the words that are necessary for showing grammatical purpose in order to develop elementary textbook of Korean universities’ liberal Japanese for practical Japanes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