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의 관찰되지 않는 이질적 특성을 선택 대안별 상수항의 확률효과로 처리하고 확률효과항간의 상관성을 보장함으로써 다중로짓모형에 내 재된 IIA 가정을 완화하는 확률효과 다중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 인을 분석하였다. 가구가 선택하는 주택점유형태를 자가점유, 전세, 보증부월세를 포함한 월세 등 세 가지로 구분하고 한국노동패널 13차 년도(2010년)부터 20차 년도(2017년)까 지의 가구자료를 통해 가구주 연령이 만 60세 미만인 가구와 청년가구를 대상으로 모형을 추정하였다. 통합자료를 이용한 통상적인 다중로짓모형 추정 결과에 대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한 결 과 IIA 가정이 기각되었으며, 확률효과 다중로짓모형 추정 결과 확률효과항의 분산과 공분 산 추정계수가 유의수준 5%내에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택 대안간의 독립성을 가 정한 다중로짓모형보다 선택 대안간의 상관성을 고려한 확률효과 다중로짓모형이 더 적절 한 분석 방법임을 제시한다. 확률효과 다중로짓모형 추정 결과에 기초한 한계효과 분석 결 과에 따르면 청년가구의 주택점유형태 선택은 가구주 연령 만 60세 미만인 가구에 비해 순자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청년가구의 자가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정책목적이라면 주택담보대출 비율 증대와 대출금리 인하의 적절한 정책조합이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of Korean households. Korean housing tenure is different from that in most of western countries in that there exist multiple rental tenure types such as Chonsei, mixed Chonsei, and pure rental type. Therefore, empirical estimation based on own-rent binary decision has to be modified to adequately account for a complex Korean housing tenure. Using KLIPS panel data from 2010 to 2017 and selecting households with the head’s age under 60, correlated random effects multinomial logit (CREMNL) model was estimated to relax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of irrelevant alternatives (IIA) which is inherent in the standard multinomial logit (MNL) model. Hauseman test on pooled MNL estimation results rejected the IIA hypothesis, and the coefficients of variances and covariance from the estimation of CREMNL model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mplies that CREMNL estimation is a better estimation method than MNL estimation. Estimation results also show that, compared to all households, young adult households are more responsive to the changes in net wealth in their tenure choice decisions. If government policy is designed to improve homeownership rate of young adult households, a combination of relaxing loan-to-value ratio restriction and lowering mortgage interest rate can be a useful policy mea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