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ince 1937, Koreans have been forced to migrate from the Yeonhaeju to the Soviet Union, their history has been a sore scar of our nation. Although interests in them have recently increased, there are still lacks of concrete approaches in various fields. The reasons lie in that it was hard to trace their epidemic tracks for a long time, but mainly it focused on imigration process and the harsh life after immigration. However, if we consider Koreans to be true compatriots,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examine the field of their lives in their place. At this time, the ‘Lenin Bchi’ newspaper is the only data that can be seen in the daily life of the Goryeo people. Of course, as this newspaper was a publishing house, all the articles were thoroughly censored, but if you trace the truth behind the story that does not end with a one-dimensional interpretation, that is implied by the article. For example, it uses satirical and realistic criticisms classified as “feuilleton”, such as articles, advertisement articles, As a result of this direct participation,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will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which will enable them to trace the happiness and grief of Koreans at the time, and the level of their native language ability.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gauge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process of assimilation of Koreans into Russia by closely examining the “Lenin Bchi” newspaper, the only information system of Goryeo people. Thus, if we confirm the process of disappearing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rocess of assimilation process of Koreans, we will be able to draw the topography of Goryeo Diaspora more concretely.


1937년 고려인들이 연해주에서 소련으로 강제 이주된 이후 현재까지 ‘고려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놓치 않고 지내온 그들의 역사는 우리 민족의 아픈 상처라 할 수 있다. 최근 그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접근은 미비한 상태이다. 여기에는 워낙 긴 시간 동안 떨어져 있어 표피적으로 들어난 흔적들을 추적하는 것만도 버거운 일이라는 원인도 있지만, 주로 강제이주 과정과 그 이후 힘겨운 삶이 집중 조명되면서 동포애를 끌어내기 위한 심정적 차원의 접근이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려인들을 진정한 동포로 생각한다면 무엇보다 그들의 위치에서 그들 삶의 현장을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레닌기치』 신문은 고려인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유일한 자료다. 물론 이 신문이 당 기관지였던 만큼 모든 기사가 철저하게 검열되었다는 한계가 있지만 1차원적 해석에 그치지 않고 기사가 함축하고 있는 이면의 진실을 추적한다면 그들 삶의 현실적 모습을 발굴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예컨대 “펠레톤(feuilleton)”으로 분류되는 풍자적이고 현실 비판적인 기사들이나 광고 글, 투고란 등 고려인들이 직접 참여한 지면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직접적인 참여로 구성된 지면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늘어나는데 이를 통해 당시 고려인들의 관심사나 고민, 그리고 모국어 구사 능력 정도 등 고려인들 삶의 희노애락을 추적할 수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이 글은 고려인들의 유일한 정보 체계인 『레닌기치』 신문을 통해 고려인들이 러시아에 동화되는 과정에 있어서 전통 문화의 인식 정도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처럼 고려인들의 전통 문화 소멸 과정과 동화 과정의 추이를 확인한다면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지형도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그려낼 수 있으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