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인 ‘자아성찰과 타자이해’와 관련한 학습 내용을 문학교과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에서 창의적인 학습활동으로 인성교육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의성은 인지적 성격과 정의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인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학습자들은 창의적인 활동을 하면서 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의적 영역의 교육을 위해서는 ‘과정 중심 평가’, ‘창의적 학습 활동’, ‘나를 알고 나를 잊어 타인을 이해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2015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학 교과서는 10권이다. 자아성찰과 타자이해의 성취기준에 선정된 문학 작품은 대부분 작품 속 화자와 인물의 태도변화를 담고 있다. 또한 성취기준에 적합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을 반영한 학습 활동을 분석할 때에는 ‘학습의 배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내용’, ‘도식화된 학습활동’ 등의 기준을 가지고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학습의 배열을 고려했을 때, 기존의 교과서에선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 단원이 모두 교과서 마지막에 제시되어 영교육과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을 교과서의 앞부분에 구성하여 지속적인 인성 교육을 도모해야 한다.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해서 매체를 활용하고, 자발적인 성찰이 일어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도식화된 학습 활동에는 도식적인 내면화, 일기쓰기 활동, 갈래별 활동의 도식화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내면화 활동’, ‘상담 기법을 활용한 감상 활동’, ‘갈등 처리 과정과 입체적 인물을 고려한 활동’ 등을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o reflect the content of learning related to 'self-reflection and other understanding' in the literary textbook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is way, we can understand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chieved by presenting the affective domain as creative learning activity in literature education. Creativity is shared between a cognitive and an affective personality, so learners can perform both knowledge and personality education while engaging in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affirmative domain, we must uti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creative learning activity', and 'education to understand me and forget others'. There are ten liter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The literary works selected for the achievement criteria of self - reflection and others' understanding change the attitude of the speaker and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ey have the subject consciousness that is appropriate to the achievement standard. When analyzing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ffective domain,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valuate the criteria such as 'arrangement of learning',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earners', and 'schematized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learning, existing textbooks are likely to be the null curriculum at the end of the textbook, the achievement standard unit of the affective domai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so that continuous personality edu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learner level, we should use the medium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interest, and organize the activities so that voluntary reflection occurs. In criticizing schematized learning activities, there are schematized internalization, diary writing activities, and diagramming of activities for gen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ep-by-step and specific internalization activities",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counseling techniques", and "activities taking into account conflicts and round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