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기업의 인증전환상의 조직형태, 기업유형, 서비스분야별 특성, 기업인증상의 미전환 사유 등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공개하고 있는 각종 통계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기업은 초기 인증조건의 까다로움과 경영부진으로 미전환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역별 현황은 대전・세종 등 중부권지역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경제기업의 유형은 일자리제공형, 기타형, 지역사회공헌형, 사회서비스제공형, 혼합형 순이었다. 넷째, 사회적경제기업은 주로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에 집중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은 창업가 대상의 지원정책도 중요하지만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의 역량강화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한계는 기존 통계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현장사례를 통해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type, business type, and service sector distribution of social economy. The research method used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KISA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nterprises were found to have increased in number of uncertified companies due to the difficulty of certification conditions and poor management. Second,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was weak in the central region such as Daejeon and Sejong. Third, the types of social enterprise were high in order of job offer type, other type, community contribution type, social service type, and mixed type. Fourth, social enterprises were mainly focused on manufacturing and education services. In conclusion, the entrepreneur’s capac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support policy for the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utilizes limited statistical data and will continue to be supplemented by field cas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