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안동원도심 전통시장 거리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의 장소성을 실현하는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안동원도심 전통시장 거리를 사례로 하는 질적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안동원도심 전통시장 거리의 장소성 강화를 위한 형성요인들을 도출하여 그에 맞는 이야기를 찾아 4가지의 공간구성으로 공간스토리텔링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입지적 거리공간으로 안동읍성에 관련된 이야기를 가지고 공간구성을 하였으며, 둘째, 역사적 거리공간으로 3・1만세 운동이야기를 가지고 공간을 구성하였으며, 셋째, 문화적 거리공간은 독립 예술 영화 이야기, 넷째, 상징적 거리공간은 찜닭 이야기를 가지고 공간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시장으로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는 공간을 지역의 장소성을 고려하여 공간스토리텔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 장소성에 기반 하는 문화와 관광 예술 등이 접목한 콘텐츠의 개발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획을 제시하지 못한 점과 객관화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은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실증적이며 구체적인 연구는 후속 연구로 수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historical/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market street in Andong Original Downtown, and to suggest a plan for space story telling that realiz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space based on 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 the case of traditional market street in Andong Original Downtown. By deriving the formative factors for strengthening sense of space in the street of Andong Original Downtown traditional market, this study carried out space storytelling in 4 kinds of spatial composition after finding out the stories fit to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 was constructed with a story related to Andong Eupseong as a locational street space. Second, the space was constructed with the story of 3・1 Cheers movement as a historical street space. Third, the cultural street space is suggested by constructing independence art film story. Fourth, symbolic street space is suggested by constructing the space with story of braised spicy chicken sto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space storytelling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competitiveness is becoming weakened as a traditional market. However, in order to revitalize the sustainable traditional market, it is the limit of the research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that incorporate the culture and the tourism art based on the space characteristic and the failure to present the planning of the various programs and the objectified result. Therefore, empirical and specific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