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에 개정된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을 위해 코퍼스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성취기준에 나타난 단어를 귀납적으로 분석, 구체적인 분석 대상을 서술어로 선택하고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전체적인 경향 및 학교급별 특성을 중심으로 두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2015 한국 사회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서술어는 총 51종으로 2016 미국 조지아 주 사회과 교육과정의 35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인지과정(지식)과 관련된 서술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 수준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낮은 인지 수준을 나타내는 서술어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초등학교급에서 이와 같은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서술어의 비율 중에서 10% 이상을 차지하는 서술어는 한국의 경우 ‘이해하다’, ‘파악하다’, ‘조사하다’, ‘탐구하다’이고 미국의 경우 ‘explain(설명하다)’, ‘describe(묘사하다)’, ‘analyze(분석하다)’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따라 인지과정(지식), 기능, 가치․태도 관련 서술어 비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와 중학교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의 경우 학교급별로 인지과정(지식), 기능 관련 서술어 비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시 성취기준 진술방식에 대한 논의점으로 첫째, 사회과 핵심역량을 고려한 인지과정(지식), 기능, 가치․태도의 실질적인 균형성, 둘째, 서술어 자체의 명료성과 더불어 학습 도달점을 고려한 서술어의 채택, 셋째, 학교급별 특성에 대한 고려와 학교급별 계열성을 고려하여 수행능력을 표현하는 서술어의 채택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urriculum standards us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d the Sou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SKNCS) and the Georgia Standards of Excellence(GSE), which were reformed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They are analyzed by a corpus-based method, an inductive tex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irst, compared with the GSE, the SKNCS contained an excessive number of verbs that instruct the same performances. Second, the SKN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include verbs that require them to use high-order thinking abilities exceeding their academic knowledge and abilities. Third, the verbs used in the elementary and the middle school South Korean standards were mostly the same.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suggest that future SKNCS should balance the number of verbs representing cognitive process-, skill-, and attitude-oriented performances; include succinct and goal-oriented verbs; and reflect the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and the sequences of content taught to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