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고려후기 유교사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유교사상가들의 현실인식과 그 대응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무신통치 시기를 지나며 유교계가 학문적 기본정신을 상실하자 유교부흥이 모색되었다. 고려후기 안향을 필두로 성리학이 소개되며 많은 유학자들이 그 연구의 폭을 넓혀 갔다. 성리학의 수용과 그 이해를 계기로 점차 유학사상이 사상계의 전면에 재등장한 것은 사상사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위화도회군을 기점으로 성리학파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그 대응이 세 조류로 분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온건보수파와 급진혁신파, 사회은둔파가 바로 그들이다. 현실인식의 차이로 성리학파는 비록 삼대조류로 나뉘어졌지만 그들의 현실진단과 대응방식은 조선시대 지성사나 문화사적으로 각각 나름대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fucian thinkers'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ir response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history in the Late Koryo Dynasty. Confucian revival was sought after when the Confucian community lost its basic spirit after passing the military subject governing style. In the Late Koryo Dynasty, Neo-Confucianism Introduced by An-hyang was gradually studied extensively through Baek Yi-jeong and Lee Je-hyeon. Lee Gok extensively explored the basic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valued the cultivation of mind. With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nd understanding of it, the gradual reemergence of Confucian thought to the forefront of the thought world was of great significance in thought history. Because a new paradigm shift has progressed. Based on the Wihwa Provincial Army in 1388, the ethnologist showed that the response was split into three currents by different perceptions of reality. They are the moderate conservative, the radical innovation and the social secluded. Their reality diagnosis and response is meaningful in that they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thought during the Chosun Dynasty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