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갖추어야 할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미디어 리터러시 측정 모형을 개발하여 세대 간 격차를 살펴보고자 했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로 접근과 통제,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 책임과 권리라는 네 가지 개념이 제시되었다. 이를 토대로, 네 가지 구성 요소의 세부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항목들을 개발하고 측정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한 측정 항목을 선별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구성요소별 측정 모형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4요인 측정 모형이 모두 통계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밝혔다.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비판적 이해, 사회적 소통과 책임과 권리, 접근과 통제 순으로 그 중요도를 높게 평가했다.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세대 간 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세대 간 격차가 발견되었고 특히 50대 이용자들은 10∼20대와 30∼40대에 비해 접근 능력 뿐 아니라 사회적 소통과 비판적 이해 능력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ystematic and integrated framework of media literacy components and examine the generation gap based on the framework. The major findings from a delphi panel of experts and an online survey of user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r components of media literacy were identified: access and control, critical understanding, social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and right.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of media literacy consisting of these four components were statistically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a delphi panel of experts evaluated critical understanding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media literacy. Forth, an online survey of users revealed the generation gap for all the components. Particularly users between 50 and 59, compared to the users under the age of 49, had lower levels of abilities in all the component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