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load and emotional arousal on liar’s gaze aversion. 11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liar groups according to cognitive load and emotional arousal conditions (high cognition - high emotion: n = 29, high cognition - low emotion: n = 27, low cognition - high emotion: n = 29, low cognition - low emotion: n = 28). All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fter lie tasks was performed, and gaze aversion was measured using a wearable eye-tracker. The high cognitive load condition had a significant higher gaze aversion than the low cognitive con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gaze aversion among emotional arousal conditions. The interaction of cognitive load and emotional arousal was significant. In high cognitive load conditions, gaze aversion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emotional arousal. In low cognitive load and high emotional arousal condition, gaze aversion appeared with low frequen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s of cognitive load and emotional arousal levels on the liar‘s gaze aversion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부하 및 정서적 각성이 거짓말자의 시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112명의 실험 참가자를 모집 후 인지적 부하 및 정서적 각성 조건에 따라 네 집단(고인지-고정서: 29명, 고인지-저정서: 27명, 저인지-고정서: 29명, 저인지-저정서: 28명)에 무선할당했다. 모든 실험 참가자는 거짓말 과제 수행 후 면담을 진행했으며 웨어러블 아이트래커를 통해 시선회피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인지적 부하가 높은 조건에서 낮은 조건에 비해 시선회피의 빈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서적 각성 조건 간에서 시선회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인지적 부하와 정서적 각성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거짓말 시 높은 인지적 부하 조건에서는 정서적 각성에 관계없이 시선회피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낮은 인지적 부하 및 높은 정서적 각성 조건에서는 시선회피가 낮은 빈도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짓말자의 시선회피 행동에서 인지적 부하 및 정서적 각성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