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아교육현장은 유아, 부모, 교사, 운영자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건과 기제를 통해 창발성이 일어나는 복잡계(complexity system)이다. 이에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구성을 복잡성 철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잠재성을 가진 유아와 다양한 관계망 속에서 생성이 일어나는 유아교육현장과 이를 반영하여야 하는 유아교육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총론에 제시된 구성방향, 목적과 목표, 운영,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복잡성 철학의 관점에서 비평적으로 들여다보고, 중첩이 일어나는 열린 시스템의 구성방향, 유아의 특이성을 담은 목적과 목표, 자기 조직적이고 비선형적인 운영, 배움이 즉흥적으로 짜여 지는 방법, 유아 존재의 역동성을 믿는 평가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복잡한 사회현상과 교육현장의 흐름을 반영한 유아교육과정의 변화의 일로에서, 복잡성 철학의 논점으로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찾아가는 또 하나의 시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s a “complexity system” where various situations emerge through children, parents, teachers, administrators as well as various conditions and mechanisms of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3 to 5 years-old’s Nuri-curriculum composition for children. The focus i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ence that is generated through various networks and the curriculum which reflects such “complexity thinking”.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the composition, purpose and goal, oper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presented in Nuri-curriculum in terms of “complexity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a composition of open system generating overlap, purpose and goal including definition for children with specificity, self-organization, non-linear operation, extemporally framed learning, and the direction of assessment of children’s believing-on-themselves dynamic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s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a point of “complexity thinking” reflecting the complex social phenomenon and the flow of education field, which is another point of looking for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